국내 기업 4곳 중 3곳은 미국의 금리 인상을 우려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기업은 별다른 대비책을 세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체 300개사를 상대로 저금리 인식과 대응실태를 조사한 결과, 미국 금리 인상이 국내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응답기업의 74.5%가 '경제회복에 부담될 것'이라고 답했다.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답은 25.5%에 불과했다.
미국 금리 인상의 구체적 영향으로는 '외국인 자금 대량이탈'(29.8%)을 가장 많이 우려했고 '금융시장 변동성 심화'(27.3%), '국내 소비·투자심리 악화'(22.7%), '미국 경기 둔화'(18.2%)등이었다.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대책 유무를 묻는 질문에는 대책을 수립했거나 수립 중이라는 기업은 20.7%에 그쳤다. 응답 기업의 79.3%는 대책을 세우지 못했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인상 폭·시기 불투명'(64.3%), '다른 우선순위 사업으로 인해 계획수립 지지부진'(13%), '수립 역량 부족'(2.9%) 등을 들었다.
대책을 세운 기업은 '현금성 자산 등 유동성 확보'(37.1%), '시장모니터링 강화'(21.0%), '가격 변동성이 낮은 단기채권 투자'(14.5%) 등을 준비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 시기는 올해 3분기를 예상한 기업(43.3%)이 가장 많았다. 이어 올해 4분기(24.7%), 내년 중(16.7%)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올 하반기 재무전략의 변수로도 가장 많은 기업이 '미국 금리 인상 추진 폭과 속도의 불확실성'(33.3%)을 꼽았고 이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인하 여부'(20.0%)를 들었다.
이와 관련, 신관호 고려대 교수(대한상의 자문위원)는 "성장과 물가를 고려한다면 금리 인하의 필요성이 있지만 가계부채 문제가 있고 미국이 연내 금리 인상을 시사해 한국은행의 고민은 더 깊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금리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78%가 '저금리 기조 지속이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인상이 필요하다'는 답은 14.3%에 불과했다.
업종별로는 대규모 장치산업인 석유화학(100%)과 철강(100%) 업종의 응답기업은 예외없이 저금리 기조 유지를 주문했다. 섬유·의복(95.8%), 금속·소재(85.7%), 목재·종리(83.3%), 운송장비(77.5%), 식음료(59.3%), 전기전자(54.3%) 순으로 저금리 기조를 희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