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뉴스=이종수 기자] 정부가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핵심광물 재자원화산업 육성을 본격 추진하기로 하고, 그 의미를 담아 산업육성 원년을 선포했다.
산업통상부는 지난 18일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금속재자원산업협회 등과 '핵심광물 재자원화포럼'을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핵심광물 재자원화는 폐배터리·폐전자제품(PCB 등)·폐영구자석 등 폐자원에서 리튬·코발트·희토류 등 핵심광물을 회수하는 활동이다.
이를 통해 상당한 규모의 핵심광물을 국내 재자원화산업을 통해 확보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원광 대비 월등한 광물 회수율과 탄소·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안보 및 친환경·탄소중립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산업으로 꼽힌다.
재자원화는 원광 대비 회수량이 배터리 광물 20배, 금 200배, 백금 500배, 네오디뮴(희토류) 80배 등에 달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원광 정제련과 비교할 경우 에너지 81%, 탄소배출 82%, 용수 86%를 저감할 수 있다.
산업부는 지난 2월 시행된 '국가자원안보특별법'을 통해 재자원화산업의 육성 근거를 마련했다. 내년에는 신규사업으로 재자원화 설비 구축 보조사업을 시행할 계획이다.
포럼을 중심으로 업계의 애로와 제도개선 사항을 지속 발굴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선순환 구조를 정착해 갈 계획이다.
윤창현 산업부 국장은 "핵심광물 재자원화산업이 단순히 성장 산업의 의미를 넘어 공급망 위기 대응 및 친환경·탄소중립을 위해 필수적인 산업"이라며 "정부는 적극적인 육성정책과 제도개선을 통해 산업을 발전시키고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할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