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웨어러블 기기의 글로벌 시장 규모가 5000만대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또 스마트워치가 헬스케어밴드를 따라잡는 첫해가 될 가능성이 높다.

6일 시장조사기관 GfK의 트렌드 분석자료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 전 세계 판매량은 2014년 1760만대에서 올해 5120만대로 191%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규모가 1년 사이 약 3배로 팽창한다는 뜻이다.

2

▲ LG 워치 어베인 LTE 모델=LG전자 제공

014년 스마트폰 세계 시장 규모(가트너 기준)인 12억대와 비교하면 4% 정도로 미미한 수준이지만, 성장률에서는 웨어러블 기기가 월등하다. TV 세계 시장 규모는 연간 2억2000만대 선이다.

GfK는 웨어러블 기기를 단순 분류해 스마트워치와 헬스피트니스트래커(HFT)로 양분했다.

삼성 기어S나 LG워치 어베인 등은 스마트워치이고, 샤오미 미밴드나 핏빗 같은 제품은 헬스피트니스트래커, 즉 헬스케어밴드류로 분류한 것이다.

스마트워치는 지난해 400만대에서 올해 2610만대로 늘어나 6.5배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올해 스마트워치용 디스플레이 패널 출하량은 4450만대로 전년(1100만개)보다 4배 가량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헬스피트니스트래커는 작년 1350만대에서 올해 2500만대로 배 정도 늘어나는 데 그칠 전망이다.

특히 스마트워치 판매량(2610만대)이 헬스피트니스트래커 수요(2500만대)를 추월한다는 점이 눈에 띈다.

애플은 4월 스마트워치 첫 제품인 '애플 워치'를 공개할 예정이다.

LG전자는 3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렸던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LG워치 어베인을 선보였다.

LG전자는 NFC(근거리무선통신)기반 월렛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이 스마트워치에 탑재했다.

스마트폰 없이도 ‘LG 워치 어베인 LTE’만 NFC 결제기기에 갖다 대면, 충전·결제가 모두 가능하다. 결제 시 사용금액과 잔여금액도 실시간으로 스마트워치 화면에서 보여준다.

삼성전자는 오르비스(Orbis) 프로젝트 아래 첫 원형 스마트워치를 개발 중이다.

GfK 관계자는 “최근 헬스피트니스트래커와 스마트워치 기능이 섞이고 있다”며 “웨어러블 기기의 양대 부문은 융합쪽으로 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