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 상장사들이 경영권 보호 등을 위해 취득해둔 자사주(자기주식) 비율이 평균 3.26%로 나타났다

21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10대 그룹 소속 96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총 발행주식수 대비 자사주 보유 비율이 평균 3.26%로 나타났다. 총 발행주식수는 보통주와 우선주를 합친 것이다.

자사주는 경영권 분쟁이나 주주 간 싸움에서 대주주의 우군으로 활용된다. 과거 소버린자산운용과 SK 간 분쟁이나 최근 불거진 미국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와 삼성물산 간 싸움이 대표적이다.

그룹별 자사주 비율은 현대중공업그룹 3개 계열사가 평균 11.67%로 가장 높고, 한진그룹(6개사) 6.59%, 삼성그룹(18개사) 6.41%, 한화그룹(7개사) 4.86%, 두산그룹(6개사) 2.92%, 현대차그룹(11개사) 1.99% 등의 순서다.

개별 상장사 중에서 자사주 보유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두산으로, 총 발행주식의 23.59%를 자사주로 갖고 있다.

SK도 총 발행주식의 23.56%의 자사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대중공업의 자사주 비율도 17.82%로 세 번째로 높다. 삼성물산과 합병을 추진 중인 제일모직도 14.10%의 자사주를 보유하고 있다.

한진그룹의 한진해운도 9.73%의 자사주를 갖고 있으며 SK그룹 계열의 부산도시가스도 자사주 9.08%를 확보하고 있다.

한화그룹은 한화(7.79%)와 한화생명(5.99%), 한화투자증권(5.68%) 등이 자사주를 많이 갖고 있다.

또 롯데쇼핑(6.16%)과 현대자동차(5.89%), 삼성증권(5.51%), 삼성생명(5.46%), LG생활건강(5.43%) 등의 자사주 비율도 5%를 웃돈다.

상장사들은 상법상 배당 가능 이익 내에서 주가 안정이나 적대적인 인수·합병(M&A)에 대비한 경영권 보호 등의 목적으로 자사주를 취득할 수 있다.

다만, 자사주는 상여금 등 임직원에 주는 물량을 제외하고는 6개월 내에 팔 수 없고, 의결권도 인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보유하던 자사주를 우호세력에 넘기면 죽어 있던 의결권은 바로 부활해 경영 보호에 활용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