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15일 국회 기재위 업무보고에서 "성과연봉제, 저(低) 성과자 관리제 등의 성과주의 제도를 2016년부터 공공기관에 전면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30개 공기업과 86개 준정부기관 상당수는 2010년 정부가 내놓은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권고안'에 따라 성과연봉제를 도입한 상태다. 그러나 실제 운영 내용은 권고안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 최경환 경제부총리

기재부는 또 임금피크제와 관련, 조기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지원금 제도를 마련하고 성공사례를 발굴해 확산시키겠다고 밝혔다.

공공기관 기능조정에 대해서는 방안이 확정된 사회기반시설(SOC), 농림·수산, 문화·예술 분야에서 차질없이 추진하고, 연구·개발(R&D)·교육, 에너지, 산업진흥, 보건의료, 정책금융, 환경 등 나머지 6대 분야의 기능조정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올해 공공기관 경영실적을 평가할 때 기능조정, 임금피크제 도입·확산 등을 평가할 수 있도록 지표를 보완하겠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 결과는 오는 17일 열리는 공공기관 운영위원회에서 확정된다.

평가 결과에 따라 각 기관에 경영평가급이 차등 지급된다. E등급이면 기관장 해임을 건의하게 된다.

올해 예산안 편성 방향에 대해서는 "도전적 창업·벤처 생태계 조성, 기술혁신을 위한 R&D를 지원해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세대·계층별 맞춤형 복지 프로그램을 확충해 일자리와 노후 불안감을 해소하고 전염병 등 재난안전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