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싼ix 수소연료전지차=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가 세계 최초로 수소연료전지차인 '투싼 ix 퓨얼셀'의 양산에 나섰지만 부족한 충전소와 비싼 가격 때문에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15일 현대차에 따르면 2013년부터 양산에 들어간 투싼 수소연료전지차의 출고 대수는 지난달 말까지 총 273대에 그쳤다.

출시 첫 해인 2013년 76대, 2014년 128대였으며 올해 1∼5월은 69대로 집계됐다.

현대차는 앞서 2015년까지 1천대를 판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출고 대수 가운데 상당수는 현대차가 수소차 시범사업 차원에서 국내외 지방자치단체나 기관 등에 대여, 실제 판매량은 이보다 적다.

273대 가운데 국내에 있는 차는 29대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대부분 미국(116대)과 유럽(117대)으로 나갔다.

수소연료전지차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고 물만 배출하는 무공해 자동차다.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를 반응시켜 만든 전기로 모터를 돌려 운행한다.

현대차는 세계 자동차업체 가운데 최초로 수소차 양산 체제를 구축했지만 턱없이 비싼 가격과 부족한 충전 인프라 때문에 보급을 확대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충전소가 11곳밖에 없다. 서울에는 양재동 현대차 본사와 상암동 등 2곳 뿐이며 지방에는 경기 용인·화성, 인천, 제주, 울산, 대구, 무안 등지에 있다.

미국도 캘리포니아주 남부의 로스앤젤레스와 오렌지카운티 등 일부 지역에만 10곳가량의 충전소가 있다.

미국에서는 구입이 아닌 리스 방식으로만 투싼 수소차를 이용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6월 출시 이후 70대의 리스가 이뤄졌다.

전기차의 2배 이상으로 높은 가격도 수소차 활성화의 큰 걸림돌이다.

현대차는 지난 2월 투싼 수소차의 국내 가격을 1억5천만원에서 8천500만원으로 대폭 낮췄지만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수소차는 전기차와 같은 민간 보급사업도 없어 구입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