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뉴시스)

 

[이코노뉴스=최아람 기자] 재계 총수들이 16일 이재명 대통령과 만나 한미 관세 협상 후속 작업에 차질이 없도록 정부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뜻을 드러냈다. 또 국내 투자 및 고용 활성화 역시 약속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미 관세협상 후속 논의를 위한 민관 합동회의를 열고 "대미 투자가 너무 강화되면서 국내 투자가 줄어들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없도록 잘 조치해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비슷한 조건이라면 가급적 국내 투자에 지금보다 마음을 써 주고, 특히 대한민국 균형 발전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조금 더 많은 관심을 가져주도록 다시 한 번 부탁드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뉴시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뉴시스)

 

이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국내 산업투자와 관련한 우려가 일부 있겠지만, 그런 일이 없게 하겠다"며 "삼성은 투자 확대 및 청년 일자리 창출,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과의 상생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이 회장은 "지난 9월 약속한 대로 향후 5년간 6만명씩을 국내에서 고용하겠다"며 "연구개발(R&D)을 포함해 국내 시설 투자도 더 적극적으로 하겠다"고 약속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뉴시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뉴시스)

 

이어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SK그룹도 국내 투자와 고용을 좀 적극적으로 진행할 생각”이라며 “원래 저희는 2028년까지 128조원의 국내 투자를 계획했었다. 하지만 반도체 메모리 수요 증가와 공정 첨단화 등으로 투자비가 계속 증가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만지면 만질수록 계속 달라지고 있다”며 “그래서 얼마가 될지를 정확히 저희도 지금 추산이 좀 어렵기는 하다. 추산컨대 저희 용인 팹(fab·실리콘웨이퍼 제조 공장)만으로도 한 600조 정도쯤의 투자가 앞으로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용 효과에 대해서도 구체적 수치를 제시했다. 

최 회장은 “고용 또한 매년 저희는 8000명 이상을 꾸준히 유지해 왔다. 지금 말씀드린대로 반도체 공장 팹 하나씩을 일부 오픈할 때마다 저희가 한 2000명 이상씩 계속 추가로 고용이 늘고 있다”며 “이 팹을 짓는 속도가 더 빨라진다고 생각하면, 2029년까지는 최소 매년 1만4000명에서 2만명 사이까지의 고용 효과가 이뤄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뉴시스)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뉴시스)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은 "국내에서 향후 5년간 연간 25조원씩, 즉 2030년까지 총 125조원의 대규모 투자를 추진할 예정"이라며 "지난해 계획했던 것보다 증가한 금액"이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올해 7200명이던 채용 규모를 내년 1만명으로 늘릴 것이라고 정 회장은 밝혔다. 이와 함께 국내 전기차 전용 공장 신설을 통한 수출량 확대도 약속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향후 5년간 100조원의 국내투자가 계획돼 있다고 소개했다. 이중 60%를 소재·부품·장비에 대한 기술 개발에 투입하겠다고 전했다.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은 핵 추진 잠수한 건조 승인을 받아낸 한미 합의에 감사의 뜻을 드러내며 대미 투자 이외에도 국내 조선 방산 분야에서만 향후 5년간 약 11조원을 국내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여 부회장은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통해서 대한민국의 조선업이 지금보다 한 단계가 아닌 두 단계 더 업그레이드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겠다"며 "투자를 통한 일자리 창출, 동반 성장 이외에도 국민과 함께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기선 HD현대 회장은 미국 조선업을 확충해 주는 과정에서 우리나라도 상호 호혜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미국 사업을 준비하겠다면서, "미국 조선소, 기자재 업계, 첨단 기술기업, 대학들과 전략적 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이들의 성과를 잘 연계하는 게 중요하다"라며 "지속 가능한 사업 무대를 만들어 가겠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