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국내총생산(GDP) 경제성장률이 1.2%로 5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에 힘입어 내수가 살아난 영향이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5년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3분기 GDP 성장률은 전기 대비 1.2%로 지난해 1분기 이후 6분기 만에 1%대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지난 2010년 2분기 기록한 1.7% 성장률 이후 5년3개월만에 최고치다.

▲ 뉴시스 자료사진

지난해 '세월호 사고'로 타격을 입은 뒤 경기가 다소 회복된 3분기에도 성장률(0.8%)이 1%대를 뛰어넘지 못했던 점을 감안하면 올 3분기 성장은 더욱 두드러진다.

3분기 성장률이 1%대를 돌파한 것은 내수가 회복된 영향이 크다. 내수의 성장기여도는 지난 2분기 0.6%에서 3분기 1.9%로 증가하면서 전체 성장률을 이끌었다.

메르스 여파로 움츠러들었던 민간소비가 2분기 -0.2%에서 1.1% 증가로 돌아서며 회복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정부의 8월 임시공휴일 지정, 개별소비세 인하 등 소비 활성화 조치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소비도 2분기 0.8%에서 3분기 1.9%로 높아졌다.

전승철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은 "3분기에 메르스 사태의 부정적인 영향이 축소되고, 정부의 임시공휴일 지정, 개별소비세 인하 등의 소비 진작 정책이 민간소비 회복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건설투자도 4.5% 증가를 기록했다. 건물 건설이 늘어난 데다 정부의 추경예산집행에 따라 도로 건설 등 사회간접자본(SOC) 투자가 증가한 영향이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의 경우 1.0% 성장했고 도소매·음식·숙박업(1.0%), 운수·보관업(2.4%), 정보통신업(4.2%) 등이 모두 증가했다. 2분기 가뭄의 피해가 컸던 농림어업도 전기대비 6.5% 증가하며 큰 회복세를 보였다.

건설업은 건물 건설을 중심으로 5.3% 증가했고,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여름철 전력판매량이 늘면서 7.9% 증가했다. 다만 제조업은 0.1% 증가에 그쳤다.

한은이 전망한 올해 경제성장률 2.7%를 달성하려면 4분기 성장률은 최소 0.9%가 나와야 한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3분기 회복된 성장세가 4분기까지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번에는 2분기 경기 악화에 따른 반사효과와 정부의 경기부양책 약발이 크게 작용했는데, 시간이 흐를수록 그 효과는 떨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부진한 수출은 여전히 성장 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그나마 지난해 4분기 0.4%, 올 1분기 0.1%, 2분기 0.3%로 간신히 0%대를 유지한 수출은 3분기 -0.2%로 후퇴했다. 순수출의 성장 기여도도 -0.7%로 지난해 3분기부터 5분기째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전체 성장률을 깎아먹고 있다.

더욱이 중국의 경기둔화 우려와 신흥국의 경제 리스크, 미국의 금리인상 등 대외 악재가 겹겹이 쌓여있어 수출 부진에서 벗어나는게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