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스마트폰 이용자의 악성앱 감염 피해를 줄이기 위해 10월 1일부터 이동 통신 3사에서 ‘모바일 응급 사이버 치료체계’를 본격 운영한다고 30일 밝혔다.

그 동안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이동통신사업자는 스미싱 등에 대해 정보유출지와 해커의 명령 서버(C&C) 등을 차단하여 피해를 예방해 왔다.

그러나 단말기에 설치된 악성앱을 삭제하지 않을 경우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 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돼 왔다.

최근 악성앱은 정보유출지 등이 차단된 이후에도 해커가 전송한 SMS를 통해 정보유출지 등을 변경해 정보유출 및 스미싱 문자 유포 행위를 계속해왔다.

이에 미래창조과학부는 KISA, 이통3사와 협력하여 악성앱에 감염된 스마트폰을 식별하여 치료를 안내하는 ‘모바일 응급 사이버 치료체계’ 구축을 추진해왔다. ,

SK텔레콤은 지난 4월부터 본 치료서비스를 시행해 8월말까지 자사 가입자를 대상으로 총 1만9,338건에 대해 악성앱 감염 사실과 치료방법을 안내했다.

10월 1일부터는 KT와 LGU+도 관련 시스템을 구축, 자사 가입자를 대상으로 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