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뉴스 칼럼=조희제 편집국장]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18일 새벽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어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FFR) 목표치를 기존 0∼0.25%로 유지키로 결정했다. 사실상 '제로금리'를 유지키로 한 셈이다.

FOMC는 최근 글로벌 경제 및 금융시장 불확실성, 더딘 인플레이션 상승속도 등을 감안해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향후 경제지표 및 금융시장과 세계경제 여건 등을 보아가며 금리수준을 조정하겠다고 발표했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도 회의 직후 "연내에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다. 10월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 미국의 금리를 놓고 한때 시장에서는 인상을 기정사실로 보는 견해가 있었다. 이에 따라 9월 위기설이 나돌기도 했지만 이번 회의를 앞두고는 동결 전망이 더 우세했다.

연준은 경기와 고용 회복에 따른 금리 인상 기대에도 불구하고 ‘현상 유지’를 택하면서 두 가지 이유를 꼽았다.

유가 하락 등의 여파로 물가 상승 압력이 아직 강하지 않은 데다, 중국발 글로벌 금융ㆍ경제 불안 상황을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실행에 옮기지 않았을 뿐, 미국 금리 인상 기조는 이미 굳어졌다. 중국 경제상황 등을 감안해 시기를 조절하고 있는 만큼 멀지 않아 금리가 오른다고 보는 게 옳다.

우리가 미국 금리 인상에 온 신경을 쏟는 이유는 그 파급력 때문이다.

그 동안 미국 등의 장기 금융완화책에 따라 글로벌 유동성이 풍부해지면서 2008~2013년 신흥국으로 유입된 글로벌 채권ㆍ주식자금은 1조2,000억 달러에 달했다. 그 이전 6년 간의 두 배에 육박하는 규모다.

미국 금리가 올라가고 달러가 강세를 타면 이들 자금이 신흥국을 이탈해 미국 등 ‘중심부’로 대거 역류하면서 신흥국 경제가 큰 타격을 입고, 그게 다시 글로벌 경제를 뒤흔드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우리 경제에도 당연히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지난 2개월 동안에만 454억 달러에 달하는 글로벌 자금이 우리나라를 포함한 신흥국 증시에서 이탈하는 등 자금 역류는 이미 시작됐다.

긴장의 고삐를 늦출 상황이 아니다.

정부도 이런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 주형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미국의 금리 유지가 금융시장의 불안을 다소 완화할 것으로 평가한다"면서도 "여전히 금리인상 시점의 불확실성이 남아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지속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긴장의 끈을 늦추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중국과 다른 신흥국의 경기둔화 여부가 금융시장 전반에 영향을 줄 것이라면서도 "우리 경제는 어떤 충격도 충분히 감내할 펀더멘털(기초여건)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조금의 방심도 금물이다. 금리 인상이 늦춰져 외국계 자본의 '셀 코리아'가 멈추는 등 한숨 돌릴 수 있게 된 것은 다행이다. .

하지만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지난달 대 중국 수출이 8.8%나 감소했다. 무엇보다 중국의 경기둔화에 따른 수입수요 감소 영향이 컸다.

물론 경상수지 흑자기조가 탄탄하고 외환보유액도 사상 최대치라 금융 ‘긴축발작’에 휩쓸릴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수출 역시 상대적으로 견고하다고 하다.

그렇다고 안심할 상황은 아닌 만큼 중국발 리스크 등에 대비한 철저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

특히 갑자기 불어난 가계부채와 부동산 거품 등은 향후 미국 금리 인상으로 글로벌 경제가 요동칠 경우 '뇌관'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정부가 금융시장 동향을 철저히 모니터링 하는 한편 가계부채 등 내재적 위험을 완화할 구조적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