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내년에 한국거래소가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 뒤 기업공개(IPO)를 하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2일 거래소의 글로벌 경쟁력과 혁신형 기업들의 성장을 위한 자금조달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금융개혁회의 등을 거쳐 이런 내용의 거래소 개편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우선 올해 정기국회에서 자본시장법을 개정해 거래소지주회사제도를 도입하고, 개정 법률에 따라 이르면 내년에 '한국거래소지주'(가칭)를 설립할 계획이다.

이어 한국거래소지주는 금융위의 승인을 거쳐 상장을 추진하게 된다.

코스피·코스닥·파생상품 등 기존 3개 시장, 그리고 주식·파생상품 거래의 청산업무를 담당하는 신설 청산법인은 물적 분할을 통해 지주회사 산하 100% 자회사로 운영된다.

증권전산 설비 등을 운용하는 코스콤(한국거래소 지분 76.6%)도 지주회사 자회사로 묶여 '지주회사 + 5자회사' 체제로 정립된다.

현재 시장감시본부가 맡는 시장감시 기능은 지주회사와 개별 거래소로부터 독립된 지배구조를 갖춘 비영리 시장감시법인이 통합·수행하게 된다.

한국거래소가 지분 70.4%를 보유한 예탁결제원의 경우 금융회사 등 예탁결제서비스 이용자 등에게 지분을 매각하는 방식으로 지배구조가 개선된다.

금융위는 이번 개편으로 기능이 강화되는 코스닥 자회사를 중소·벤처기업을 포함한 모든 성장·기술형 기업을 위한 거래소로 육성할 계획이다.

특히 코스닥지수나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지수연동형 펀드(ETF) 등 주식연계상품과 파생상품을 개발해 코스닥 상장을 활성화하고 상장기업들의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지주회사 전환시 코스닥 자회사에 충분한 자금이 출자되고 지주회사의 IPO로 조달한 자금도 코스닥에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