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언론행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광고주협회는 국내 500대 기업 홍보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2015 유사언론 행위 피해실태 조사결과'를 1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리서치에 의뢰, 500대 기업 중 무작위로 선정한 247개 기업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해 이뤄졌다.

100개사가 응답, 응답률은 40.5%였다.응답 기업의 53%는 '유사언론행위가 매우 심각하다', 37%는 '심각한 편'이라고 답했다.

'보통' 8.0%, '심각하지 않은 편'은 2.0%였다.87%는 최근 1년간 유사언론행위로 인한 피해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피해 유형으로는 '기업관련 부정적 기사의 반복 게재'가 87.4%(복수응답)로 가장 많았고 '경영진의 이름·사진 노출'(79.3%), '사실과 다른 부정적 이슈와 연계'(73.6%) 등을 들었다.

'유사언론'으로는 87개 기업이 192개사를 거론했다. 이 중 메트로신문의 언급 비율이 33.0%로 가장 높았다.

응답 기업들은 유사언론행위가 많이 나타나는 원인으로 '포털의 기사제휴'(59.8%·복수응답), '매체 설립기준 완화에 따른 언론사 난립'(50.6%)를 들었다.

유사언론행위 근절 방안으로는 '포털에서 퇴출 및 기사제휴 중단'(23.0%·복수응답), '매체 및 기자에 대한 처벌 강화'(21.0%)를 꼽았다.

광고주협회는 이번 조사에서 유사언론행위가 심한 것으로 지적된 상위 10개 언론사에 대해 건전한 저널리즘의 확립과 광고시장의 발전을 위한 노력을 촉구하는 서한을 보낼 예정이다.

또 광고시장을 교란하고 위축시키는 유사언론행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하고 피해사례를 수집, 매체명을 공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