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부진과 메르스 확산의 영향으로 7월 종합경기 전망치가 세월호 사고 여파 당시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29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 7월 종합경기 전망치는 84.3으로 기준선 100에 못 미쳤다.

이번 수치는 글로벌금융위기(2009년 1월 52.0), 유럽재정위기(2012년 12월 82.0) 때보다는 높으나 세월호 사고 여파(2014년 8월 91.6) 때보다는 낮았다.

종합경기 전망치를 업종별로 보면 경공업(74.6), 비제조업(84.2), 중화학공업(87.2) 모두 기준선 100에 크게 밑돌았다.

의약품제조업(50.0),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61.9), 펄프·종이 및 가구(64.3) 등을 중심으로 대부분 업종에서 부정적인 전망이 나왔다.

전망치를 부문별로 살펴보면 내수(84.1), 수출(92.9), 투자(95.6), 자금 사정(95.2), 재고(103.6·100 이상은 재고과잉), 고용(95.8), 채산성(89.8) 등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이었다.

이는 대외 불확실성과 수출 부진 지속, 메르스 확산과 경제심리 위축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전경련 관계자는 "부정응답 비중이 전월 대비 10% 가량 증가함에 따라 지수가 급격히 낮아졌다"면서 "수출 부진 지속과 메르스 여파가 기업심리에도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