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뉴스=임태형 대기자] 올해 연말에도 많은 대기업들이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이웃사랑 성금으로 수백억원을 기부했다. '희망 나눔캠페인'에 동참한 대기업들은 저마다 "어려운 이웃들이 꿈과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등의 다짐을 했다.

박근혜 대통령 비선 실세인 최순실 게이트가 드러난 초기에는 대기업들이 미르·K스포츠재단에 아낌없이 돈을 바치면서도, 사회공헌 투자에는 인색하다는 비난이 일기도 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들이 사회공헌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자체는 틀림없는 사실이다. 국민 눈높이에 맞는지 안 맞는지는 다음 문제다.

▲ 임태형 대기자

2017년 정유년(丁酉年) 닭의 해를 맞으면서 사회공헌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본다.

사회공헌을 논할 때는 먼저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을 명확한 구분해야 한다. 아직도 이 두 가지 용어를 비슷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데, 용어에 대한 오해가 기업 경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최소한의 개념 정리는 필요하다.

특히 사회공헌을 사회적 책임으로 오해하는 경우를 보면 마음이 편치 않다.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은 기업이 경영을 하면서 윤리경영, 환경경영, 사회공헌과 노동자를 비롯한 지역사회 등 사회 전체의 이익을 동시에 추구하며, 그에 따라 의사 결정 및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사회공헌은 사회적 책임활동의 한 부분으로 기부와 사회봉사, 공익사업 수행과 같은 공익적인 활동에 한정하는 의미의 용어다.

공익사업 수행, 적지 않은 기부와 임직원들의 봉사활동에도 불구하고 회사의 평판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사회적 책임경영’에 충실하지 않은 데에서 원인을 찾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나 홍보부족을 탓하며 시간과 정력을 낭비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된다.

사회공헌 활동은 기본적으로 사회적 책임을 충실하게 수행하는 가운데서 행할 때에는 시너지효과를 가져오지만, 비윤리적인 경영이나 환경오염 행태를 무마하는 활동이 아님을 분명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2000년 이후 기업 사회공헌 활동의 총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4년 1조 2천억원이던 기업의 기부 규모가 4년만인 2008년에는 2조 2천억 규모로 급증했다.

그러나 사회공헌 활동의 진정성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사회공헌 활동 비용이 좀 더 효과적으로 사용됨으로써 기업과 사회의 이익을 동시에 증대시키는 노력이 요구되는 이유다.

최근에는 ‘나눔’이 이슈화 되면서 나눔의 주체와 내용이 다양화되고 우리사회 전체 ‘나눔의 총량’도 확대되고 있다.

현물은 물론 재능 기부가 확대되고 사회복지 분야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스포츠, 환경, 의료, 재해구호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분야에서 나눔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사회공헌’이 재차 조명받고 있다. 사회공헌은 원래 기업의 용어였지만 이제는 민간의 기부와 봉사활동을 포함하고 사회복지 이외의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는 포괄성에서 나눔과 이음동의어가 된 듯하다.

▲ 정진행 현대자동차 사장이 29일 서울 중구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서 허동수 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에게 이웃 돕기 성금을 전달 한 뒤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현대대자동차그룹 제공

그래서 지역사회 내 다양한 사회공헌 자원을 연결하고 지속적인 자원의 개발을 위한 전문조직의 필요성이 커지게 됐다.

이미 2002년부터 전국의 248개 자원봉사센터가 설립돼 지역사회 자원봉사 자원을 연결하고 개발하며 자원봉사활성화에 큰 기여를 해오고 있는 것처럼, 2007년부터는 중앙과 지방 네 곳의 사회공헌정보센터가 사회공헌총량확대를 위한 자원의 연결과 개발을 하고 있다.

경기복지재단의 경우 2011년 재단 내에 사회공헌팀과 사회공헌지원센터를 신설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뤄졌다고 볼 수 있다.

지역사회의 구성원 입장에서는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좀 더 근거리에 지원조직이 위치함으로써, 결국 우리사회 전체 나눔 자원의 총량을 확대해 나가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기업의 경우 기본적인 사회적 책임 준수 속에서의 사회공헌을 주문해야 하며, 기업의 전략적 사회공헌이든 개인의 이기적 동기든, 밀려드는 나눔과 사회공헌 자원을 지역사회 전체의 이익으로 변환하는 세련된 자세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