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뉴스=조희제 기자] 비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임금 증가폭이 정규직 근로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도 더욱 늘어났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6~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149만4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 증가했다.

▲ 지난 6월 25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최저임금 1만원·비정규직 철폐 전국노동자대회에서 한 참가자가 비정규직 철폐를 촉구하며 피켓을 들고 있다./뉴시스 자료사진

반면 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279만5000원으로 3.7% 늘어나는데 그쳤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간 평균 월급 격차는 10.5%로, 전년 동기 대비 0.3%포인트 확대된 것으로 집계됐다.

단순 임금 뿐 아니라 임금 상승률에도 차이가 벌어지면서 비정규직 근로자와 정규직 근로자의 임금 격차는 더 벌어질 전망이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시간제 근로자는 평균 취업시간이 적기 때문에, 임금도 적다. 그런 부분(시간제 근로자의 증가)이 영향이 있었다"고 말했다.

근은 "시간제 근로자를 제외하고 계산했을 때 임금격차는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사회적 안전장치인 사회보험 가입률에서도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차이가 드러났다.

우리나라 전체 임금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국민연금(67.6%) 0.2%포인트, 건강보험(72.6%) 1.1%포인트, 고용보험(69.6%) 1.0%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비정규직 근로자의 경우 국민연금 가입률(36.3%)이 오히려 0.6%포인트 감소했다. 건강보험(44.8%)은 전체 평균보다 못한 1.0%포인트 증가했고, 고용보험(42.8%)은 0.3%포인트 오르는데 그쳤다. 전체 평균보다 낮아 정규직 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률과 격차가 확인됐다.

퇴직급여, 상여금, 시간외수당, 유급휴가 등이 포함된 근로복지 수혜율에서도 격차가 확연했다.

정규직 근로자가 85.4%의 상여금을 받을 때 비정규직은 38.2%에 그쳤고, 유급휴일(휴가)을 받는 경우에도 정규직은 74.3%, 비정규직은 31.4%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수혜율은 모든 분야에서 정규직 근로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우리나라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는 1년 사이 2.8% 수준인 17만3000명이 증가해 644만4000명으로 드러났다. 전체 임금근로자 중 32.8% 수준이다.

시간제 근로자(248만3000명)가 11%나 늘면서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한시적 근로자는 365만7000명, 비전형 근로자는 222만명으로 각각 0.5%, 0.6%씩 증가했다.

자발적 사유로 근로형태를 선택한 비율은 53.1%로 1년 전에 비해 2.8%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자발적으로 시간제 근로를 택한 경우는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4%포인트 늘었다.

성별로는 여자가 353만8000명으로 4.4% 증가했고, 남자가 290만600명으로 0.8% 올랐다. 연령계층별로는 60세 이상이 22.8%로 가장 많았고, 50대(21.5%), 40대(19,8%), 30대(15.4%), 20대(17.5%), 10대(3%) 순이었다.

교육정도별 특성으로는 고졸이 44.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대졸이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전체의 31.8%로 204만8000명으로 나타났다.

심 과장은 "고령화 때문에 인구도 증가하고 취업도 증가하면서 비정규직 근로자도 같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