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강보합-나스닥 0.61% 상승마감
S&P500 7주연속 상승세 
10년물 국채금리 3.95%대 반등

미국 뉴욕증시는 18일(현지시간) 상승했다. 사진은 뉴욕증시 중개인들이 주가 상승에 밝은 표정으로 매매전략을 논의하고 있는 모습. [뉴욕=AP/뉴시스 자료사진]
미국 뉴욕증시는 18일(현지시간) 상승했다. 사진은 뉴욕증시 중개인들이 주가 상승에 밝은 표정으로 매매전략을 논의하고 있는 모습. [뉴욕=AP/뉴시스 자료사진]

[이코노뉴스=조희제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18일(현지시간)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내년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보다 0.79포인트 오른 3만7305.95으로 마감됐다. 

S&P500지수는 0.45%(21.37포인트) 상승한 4740.56으로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0.61%(90.89포인트) 오른 1만4904.81로 장을 끝냈다.

S&P500지수는 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2017년 이후 6년 만에 가장 긴 시간동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S&P500 지수는 2022년 1월 달성했던 최고가 4796.56까지 1% 만을 남겨두고 있다.

연준에선 시장의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너무 강하다며, 경계를 표시했지만 시장은 여전히 내년도 금리 인하 낙관론을 거두지 않으면서 지수상승을 이끌었다. 

이날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CME 트레이더들은 연준이 현재 5.25~5.50%인 기준금리를 내년 3월에 0.25% 낮출 확률을 63.4%로 보고 있다.

하지만 시장의 기대가 너무 강하다는 경고음도 나온다. 

연준 내에서 비둘기파로 꼽히는 오스틴 굴스바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CNBC에서 “시장은 연준이 전망했던 것보다 더 많은 금리 인하를 기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로레타 매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다음 단계는 금리를 언제 인하할까가 아니다”라며 “금리 인하 시기와 범위에 대해 시장이 앞서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뉴욕 채권시장에서 국채금리는 차익 실현 매물에 반등했다.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3.95%선, 2년물 금리는 4.45%선을 나타내고 있다.

주가 랠리에 내년 말 전망치를 5,000 이상으로 낙관하는 증권사도 늘고 있다. 골드만삭스가 내년 말 S&P500지수 전망치를 기존 4700에서 5100으로 상향했다. 지난 11월에 전망치를 내놓은 지 한 달 만에 전망치를 상향한 것이다.

지난주 오펜하이머는 내년 전망치를 5200으로 제시했으며, HSBC도 내년 5000까지 지수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기술주중에서는 애플만이 0.63% 내렸다.

애플은 이날 애플워치 시리즈9와 울트라2의 판매가 12월21일부터 온라인에서 중단되고 24일부터는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중단될 것이라고 밝혔다. 애플의 이번 미국 시장판매 중단은 특허 분쟁 때문이다.

아마존은 +2.73% , 엔비디아는 +2.71% . 마이크로소프트(MS)는 +0.48% , 알파벳도 +2.77% , 메타플랫폼스는 +3.17% 상승 후 거래를 마쳤다.

어도비는 피그마 200억달러 인수 계획 철회 소식에 소폭 상승했다.

 US스틸은 일본 제철이 회사를 149억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26% 넘게 급등했다.

넷플릭스는 모간스탠리가 목표가를 475달러에서 550달러로 상향하면서 3% 상승했다. 콘텐츠 지출과 광고 성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날 유가가 2% 상승하면서 발레로 에너지가 3%, 마라톤 페트롤리움과 다이아몬드백에너지가 2% 이상 올랐다.

선파워는 늦어진 10-Q 파일을 월요일 발표하면서 주가가 33% 넘게 하락했다. 회사는 유동성 우려와 회사 지속 가능성 여부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골드만삭스는 일요일 메모에서 이미 회사를 중립에서 매도로 투자의견을 하향했다.

쿠팡은 온라인 럭셔리 플랫폼인 파페치를 인수할 계획을 발표한 이후 5.1% 하락했다.

니오는 아부다비에 기반을 둔 CYVN 홀딩스가 22억 달러 규모의 신주 인수 계약을 발표했다. 이 소식에 주가가 6% 상승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