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파리 연쇄 테러로 인한 유럽발 불확실성이 글로벌 경기를 얼어붙게 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서방 국가들이 이슬람국가(IS)에 대한 보복전을 나설 경우 전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추가 테러가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 13일 테러의 밤에 동시다발로 테러를 당한 벨 에퀴프 레스토랑 앞에서 사람들이 14일 희상자들에게 애도를 표하고 있다. AP/뉴시스

정부도 파리 테러 관련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여는 등 우리 경제에 미칠 악영향에 대해 주시하고 있다.

1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주형환 기재부 1차관이 주재하는 가운데 경제정책국장, 국제금융정책국장, 대외경제국장 등이 참여하는 시장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정부 관계자는 "유럽 증시 등을 중심으로 일부 충격은 불가피하겠지만 과거 사례를 감안할 때 현재로서는 그 영향이 비교적 단기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글로벌 실물경제와 국제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향후 사태의 전개 추이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물경제 측면에서는 내수를 중심으로 유로존의 경기 회복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경우 중국을 비롯한 세계경제의 하방 압력을 확대시킬 우려가 있다는 판단이다.

정부와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유로존은 3분기 성장률(0.3%)이 대외수요 둔화 등으로 전기(0.4%)보다 둔화된 상태다. 내수마저 위축될 경우 경기회복세가 약화될 소지가 크다.

추가 통화정책 완화, 난민배분 문제 등에서 국가간 의견이 대립되는 상황이어서 시장의 불확실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김위대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중동·아프리카, 아시아 등 신흥국에 집중되던 테러가 美·유럽 등 주요 선진국으로 확산될 경우 금융시장에의 영향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한다"고 우려했다.

유럽 경기가 둔화되면 전체 교역 중 대(對) 유럽 수출 비중이 큰 중국 경제에도 치명타가 된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중국 수출 비중은 ▲미국 16.9% ▲유럽 15.8% ▲아세안 11.6% ▲일본 6.4% ▲한국 4.3% 등을 나타내고 있다.

유럽 소비 위축으로 중국 수출이 줄어들면 한국 경제에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중국은 우리의 제1 교역국이고 수출의 70% 가량이 소비재 제작에 필요한 부품인 중간재다.

이는 중국에서 완성품으로 재탄생해 세계 시장으로 팔려 나가는데 중국의 판로가 막히면 그만큼 우리 수출에도 지장을 주게 된다.

정부는 금융시장과 관광·항공 등 서비스업 분야는 물론 수출 등 산업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강구하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