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 증권가 스카이라인 모습. 사진=뉴시스
서울 여의도 증권가 스카이라인 모습. 사진=뉴시스

[이코노뉴스=최아람 기자] 기업 대주주가 주식을 담보로 해 대출을 하면 기업 위기라고 자의적으로 몰아붙이거나 기업의 경영실적이나 자본현황을 극단적으로 폄하하고 과장되게 보도해 기업 이미지를 추락시키는 보도에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5일 증권업계 등에 따르면 기업경영자나 일반 투자자들 누구나가 공공연하게 이용하는 합법적인 제도인 주식담보대출의 위험성을 자의적으로 부풀린 왜곡‧과장 보도가 늘고 있어 기업들의 피해도 커지고 있다.

주식담보대출이란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주식투자자가 저축은행이나 증권사에서 주식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것이다. 

이 때 주식가격의 하락에 대비해 담보유지비율을 설정하게 되는데 담보로 맡딘 주식의 평가액이 담보유지비율 이하로 떨어지면 증권사 등 금융기관이 부족한 담보금액을 추가로 맡기도록 요구할 수 있다. 

지난해 9월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진행한 오너일가 주식담보대출 조사에 따르면 총수가 있는 66개 대기업 그룹 오너일가 중 주식담보대출이 없는 기업은 현대자동차 그룹이 유일했다. 그만큼 주식담보대출은 기업 경영자들에게 거액의 자본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여러 계열사를 거느린 B지주사의 경우, 보유주식의 75%를 담보로 2000억 원 규모의 대출을 받아 오너일가의 경영권 방어에 나섰다. 대표 보유주식을 담보로 높은 비율의 대출을 받은 사례들도 있다. C제약사는 증여세 마련을 위해 대표 주식의 87%를 담보로 400억대, D제약사는 89%를 담보로 70억 원에 가까운 대출을 실행했다.

이처럼 주식담보대출의 사용처는 자금 조달을 위한 유상증자 참여부터 상속세, 증여세 납부, 개인투자 등 다양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사적인 부분까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물론 최근 들어 금리가 인상되면서 이자부담이 늘면서 주식을 담보로 수백억~수천억원의 대출받은 대기업 대주주나 기업의 금리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오히려 오너 일가의 핵심 수익원이 지분을 가진 주요 계열사의 배당금인 만큼, 늘어나는 금융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계열사의 배당을 확대하는 전략을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주주들에게 더 많은 배당을 할 가능성이 높아 투자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주식담보대출 등에 대한 대부분 자의적인 해석은 주식담보대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이들에게 자칫 ‘주식담보대출=대표의 도덕적인 결함’이라는 왜곡된 프레임 형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기업 관계자는 “정확하고 가치 있는 정보 전달이라는 언론보도의 윤리 실현을 위한 해결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