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가계금융복지조사] 자영업 타격…공적이전소득 31.7% 늘어
연 소득 1000만원 미만 가구 6.2%…1억 이상 가구는 15.7%
가구당 평균 부채 8801만원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단위:만원, %, 전년대비). [그래픽=통계청 제공]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단위:만원, %, 전년대비). [그래픽=통계청 제공]

[이코노뉴스=이혜경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가구 평균소득이 전년보다 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4차례에 걸친 재난지원금 지급 등 ‘공적이전소득’ 덕택인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가구 평균 소득은 6125만원으로 2019년(5924만원)에 비해 3.4% 증가했다.

이 가운데 공적이전소득은 602만원으로 전체 평균 소득의 9.8%를 차지했으며 이는 지난 2019년(7.7%)보다 높아진 수치다. 

세부적으로는 근로소득 3855만원, 사업소득 1135만원, 재산소득 432만원, 공적이전소득 602만원, 사적이전소득 101만원 등이다. 전년 대비로는 공적이전소득이 31.7%, 재산소득이 3.6%, 근로소득이 1.7% 증가한 반면 사업소득은 1.4%, 사적이전소득은 6.4% 감소했다.

공적이전소득은 역대 최대 증가폭을 나타냈다.

임경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공적이전소득 전체적으로 증가폭이 역대 최대를 기록하면서 1분위부터 5분위까지의 소득이 전반적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른 사적모임제한, 영업제한 등으로 인해 사업소득이 줄어든 것이 눈에 띈다. 특히 직접적인 타격을 받은 숙박·음식업, 교육서비스업,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 등에서 큰 폭의 사업소득 감소가 나타났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다만 일부 소득 증가 업종이 상쇄하면서 사업소득 감소폭이 그나마 1.4%에 그친 것으로 풀이된다. 

근로소득의 경우 소득 자체는 늘었지만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줄었다. 2019년에는 근로소득의 비중이 64%였던 반면 2020년에는 62.9%로 낮아졌다.

전체 소득이 증가한 것은 공적이전소득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공적이전소득은 공적연금과 기초연금, 양육수당, 장애수당, 기초생활보장지원금, 근로·자녀장려금 등을 포함하는데,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인해 한 차례의 전국민 지원금을 포함해 수차례의 재난지원금이 지급되면서 큰 폭으로 늘었다.

임 과장은 "소득증가분(3.4%)에서 공적이전소득의 기여율은 72% 정도"라고 말했다. 지난해 소득 증가분인 201만원 중 140만원 정도가 재난지원금을 비롯한 공적이전소득의 몫이라는 설명이다.

공적이전소득은 소득 수준이 낮을 수록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 1분위 가구의 경우 평균 소득 1294만원 중 공적이전 소득만 610만원으로 47.1%나 차지했다. 소득이 가장 많은 5분위 가구도 공적이전소득이 전년 대비 52%가 늘어난 524만원이었지만 전체 소득이 1억4208만원에 달해 소득 대비 공적이전소득의 비중은 3.7%에 불과했다.

다만 공적이전소득이 가장 많았던 분위는 3분위로 657만원이었고, 2분위도 649만원으로 1분위의 공적이전소득보다 많았다.

분위별 가구 소득은 1분위 1294만원, 2분위 2950만원, 3분위 4844만원, 4분위 7325만원, 5분위 1억4208만원이었다. 전년 대비 모두 증가했는데 1분위 12.0%, 2분위 6.8%, 3분위 3.7%, 4분위 2.8%, 5분위 2.2%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소득 구간별로 보면 1000만~3000만원 미만이 24.4%로 가장 많고, 3000만~5000만원이 21.1%로 뒤를 이었다. 5000만~7000만원이 16.5%, 7000만~1억원은 16.2%였다. 소득이 1000만원도 되지 않는 비중은 6.2%로 전년(7.8%)보다는 줄었고, 1억원이 넘는 비중은 15.7%로 2019년(15.2%)보다 많아졌다.

가구주가 39세 이하인 가구는 3000만~5000만원(27.2%) 가구 비중이 높았고, 40대 가구는 7000만~1억원(22.7%)이 많았다. 50대 가구는 1억원 이상(24.9%)이 가장 많았다. 1000만원 미만의 저소득 가구는 60세 이상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60대 가구의 12%를 차지했다.

세금, 공적연금 기여금·사회보험료 등 의무성이 부여된 지출을 뜻하는 비소비지출은 1122만원으로 전년 대비 17만원(1.5%) 증가했다. 국민연금 기여금과 공무원·군인연금 기여금 등 공적연금·사회보험료 지출이 38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세금 368만원, 이자비용 193만원, 가구간 이전지출 135만원 순이었다.

전년 대비로는 세금이 11만원(3.1%), 공적연금·사회보험료가 28만원(7.9%) 증가한 반면 가구간 이전지출은 11만원(-7.4%), 비영리단체 이전지출은 9만원(-16.8%), 이자비용 2만원(-1.1%)이 감소했다.

◇ '영끌'로 집산 30대 11% 늘어-40대 부채 1억2208만원으로 가장 많아

한편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가계부채가 9000만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년 전보다 6.6% 증가한 규모로 내 집 마련을 위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을 받은 30대에서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반면 가구의 평균 소득은 6125만원으로 전년(5924만원) 대비 3.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올해 3월 기준 가구당 평균부채는 8801만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8256만원)보다 6.6% 급증했다.

가구주 연령대별로 평균 부채는 40대가 1억2208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 1억74만원, 39세 이하 9986만원 등의 순으로 1년 전에 비해 39세 이하에서 9.5%로 가장 높게 증가했다.
 
특히 30대 가구의 평균 부채는 1억1190만원으로 전년 대비 증감률이 11.0%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이들 연령대의 금융부채는 평균 9404만원으로 증가율 역시 전년 대비 14.1%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평균 담보대출액은 7425만원으로 전체 부채의 66%를 차지했고, 신용대출은 1471만원(13%)이었다.
 
또 부채와 순자산을 합친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자산은 5억253만원으로 전년(4억4543만원) 대비 12.8%(5711만원) 증가했다. 전년 대비 증감률은 금융자산이 7.8%, 실물자산이 14.4% 각각 증가했다. 실물자산의 증가 요인은 부동산 중 거주주택 평균 가격이 1억8945만원에서 2억2876만원으로 20.7% 증가한 영향이 컸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