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대비 0.7%포인트 하락한 71.9% 집계돼…12월 소매판매 6년10개월만 최대폭 감소

지난해 제조업 평균가동률이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를 겪은 1998년 이후 최저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소비동향을 나타내는 소매판매 지수가 6년10개월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 (그래픽=통계청 제공)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017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1.9%로 전년대비 0.7%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가 한창 진행 중이던 1998년 67.6% 이후 19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제조업의 생산능력 대비 실제 생산실적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외환위기 이후 2000년대 들어서는 꾸준히 70%대 중후반을 유지했고, 80%를 넘을 때도 3개년(2007년 80.1%, 2010년 80.3%, 2011년 80.5%) 있었다. 그러나 2012년부터 우리 경제의 저성장 기조와 맞물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연간 기준으로 보면 2010년과 2011년 2년 연속 80%대를 웃돌다 2012년 78.5%로 떨어진 뒤 2013년 76.5%, 2014년 76.1%, 2015년 74.5%, 2016년 72.6%에 이어 2017년까지 6년 내리 하락세다.

제조업 가동률 둔화는 생산부진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제조업 가동률 하락이 투자 위축으로 이어져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데 있다.

지난해 전산업생산은 전년 대비 2.4% 증가했다. 이는 2016년 연간 생산 증가율 3.0%보다 0.6%포인트(p) 감소한 것이다.

자동차, 기타운송, 금속가공 등 주력업종의 생산 부진이 이어지며서 광공업생산은 전년대비 0.6% 증가에 그쳤으며, 서비스업 생산도 숙박·음식점업 등에서 감소하며 전년대비 2.5% 증가에 머물렀다.

광공업생산은 2016년 1.0%에서 지난해 0.6%로 증가세가 둔화됐으며, 서비스업생산도 같은 기간 3.0%에서 2.5%로 증가폭이 줄었다.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대비 2.7% 증가했다. 2년 연속 4%대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2015년, 2016년보다 소비 증가율이 다소 둔화된 모습이다. 이는 2014년 2.0% 이후 3년 만에 낮은 증가율이다.

반면, 설비투자는 전년대비 14.1% 증가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2016년 1.3% 감소에서 1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된 것이다. 지난해 건설기성은 전년대비 10.0% 증가한 반면, 건설수주는 건축분야 실적이 줄면서 전년대비 3.7% 감소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한파와 최저임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소비가 한 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전산업 생산도 0.2% 증가하는 데 그치면서 생산·소비 지표 약화가 내수 침체의 신호 아니냐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4.0% 감소했다. 이는 2011년 2월(-4.1%)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승용차 등 내구재(-8.6%), 의복 등 준내구재(-4.5), 화장품 등 비내구제(-1.0%) 등의 판매가 모두 줄어들었다. 지수 하락을 주도한 자동차의 경우 일부 업체 부문 파업 및 수입차 확보 물량 부족으로 판매가 부진했다.

지난해 12월 전산업생산은 광공업, 건설업에서 감소했으나 서비스업 등에서 늘어 전달보다 0.2% 증가하는 데 그쳤다. 통계청은 미국 수출 부진, 일부 업체 부분 파업 등이 겹쳐 완성차 생산이 감소하면서 자동차 부품 수요도 줄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