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뉴스=임태형 대기자] 일자리 추경이 관심을 끌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새정부는 지난 5일 우리사회의 경직된 고용 상황을 재난 수준으로 간주하면서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안을 내놨다. 취임 즉시 일자리 추경을 편성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공약대로 정부는 11조2000억원 규모의 추가 재정 투입을 준비 중이다.

▲ 임태형 대기자

정부가 추경을 통해 11만개 일자리 창출에 주도적 역할을 한다는 게 핵심인데, 일자리가 늘어날 경우 당장이야 좋겠지만 질적인 수준과 지속성이 담보돼야 효과를 볼 수 있다.

야당인 자유한국당은 8일 일자리 추경안에 대해 "푼돈 알바 추경"이라고 폄하했다. 일자리 창출효과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노인 일자리 사업의 경우 월 27만원씩 나눠주는 6개월짜리 사업에 불과하다"며 "푼돈을 정부 재원으로 나눠준다고 장기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게 아니다"고 지적했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등이 “정부의 직접고용 창출은 마중물 효과고, 그 아래 간접고용 창출효과와 플러스 알파 부분이 더 크다"며 일자리 추경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전혀 먹혀 들지 않는 형국이다.

일자리 추경이 필요한 지 여부를 떠나 이 시점에서 기업시민정신(Corporate Citizenship)을 생각해본다.

기업시민정신은 흔히 말하는 ‘기업가정신’과는 다른 개념이다. 현대 경영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미국의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는 ‘혁신과 기업가정신(1985)’이라는 저서에서 기업가정신은 '위험을 무릅쓰고 포착한 기회를 사업화하려는 모험과 도전의 정신'이라며 "기업가정신만이 경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핵심 요소"라고 강조했다.

한국경제가 좀처럼 활력을 되찾지 못하고 있는 건 성장의 원동력이었던 기업가정신이 실종된 탓이라는 분석도 있다. 기업들이 투자 의욕이 없기 때문에 당연히 일자리 창출도 제 자리 걸음이라는 주장이다.

이에 비해 기업시민정신은 기업이 지역사회 공동체의 중요한 주체로서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하는 개념이다. 즉 기업에게 인격을 부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리를 추구하는 법인이지만 사회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기부와 봉사활동을 통해 따스한 인간미를 보여주기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기업의 사회공헌은 부가적인 활동이 아니라 이윤의 극대화를 위한 경영활동의 하나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는 개념이다. 특히 사회공헌활동은 혜택을 베푸는 입장이 아니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진정성을 담고 동참하는 시민의 입장에서 해야 한다는 의미도 담고 있다.

▲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일자리 추경 현장 방문 일정에 따라 서울 용산소방서를 찾아 차담회를 위해 소방대원들에게 커피를 따라주고 있다./뉴시스

임직원들이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시민들과 소통하고 협업하며 공동체 의식을 키워가면, 시민들 또한 기업을 이해하고 애정을 갖게 된다. 임직원과 시민들의 자연스런 만남 속에서 수많은 이야기가 탄생하고 그 이야기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다. 이것이 사회공헌활동 홍보의 시작이다.

최근 불황의 장기화로 일부 기업 중에서 사회공헌활동을 대폭 축소하거나 중단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 보면 경영실적이 악화되면 사회공헌부문 역시 예산이 감소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긴축방안을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이해관계자들을 설득할 수도 있고 곱지 않은 시선에 직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장기불황은 기업 뿐 아니라 비영리단체나 소외계층의 삶도 더욱 빡빡하게 만들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불황기에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클라이언트(client)가 불분명한 내외부의 전시성 이벤트는 과감히 축소하거나 없애는 대신 클라이언트와의 관계가 분명하고 예상되는 성과와 임팩트(impact), 그리고 이해관계자의 호응도에 따라 프로그램을 재정비해야 한다.

이참에 양적인 산출물 위주의 활동에서 질적인 성과도출의 사회공헌활동으로 옮기면서 불황을 돌파하고 활동을 고도화할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 임태형 대기자는 삼성사회봉사단 창설 멤버(차장)이며 KT사회공헌정보센터 소장을 역임하는 등 30년 가까이 기업 현장에서 사회공헌활동을 연구하고 실천한 CSR 전문가입니다./편집자 주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