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웅걸 작가 인터뷰...비보이 출신 디자이너

아티잔(장인·마스터)의 작품을 소개하고 판매하는 온라인 플랫폼인 마이마스터즈가 국내 최초로 등장, 화제가 되고 있다.

마이마스터즈(MyMasters.net)는 정상급 아티잔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과 시스템을 제공하고 작품 판매 및 마케팅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 김광신 대표

김광신 대표(52)는 “마스터들은 이름을 걸고 제품을 만들기 때문에 완성도가 매우 높고 직거래인 만큼 가격도 합리적”이라며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구매 만족도가 매우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마이마스터즈에 가입한 마스터들은 옻칠 나전 한지 등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공예 분야에서부터 가구 액세서리 패션 등 현대 공예 분야까지 스펙트럼이 다양하다.

아티잔 라이프 스타일(Artisan Life Style)을 새롭게 제안하는 마이마스터즈는 작가주의 생활 용품의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생활용품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우리 기업들을 양성하는데도 역할 할 것이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이들의 삶과 작품 활동을 이야기 한다. [편집자주]

 

가구 디자이너 · 양웅걸 작가

양웅걸 작가의 가구는 ‘둥글다’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운 곡선이 보는 이의 마음을 자유롭게 한다. 강물의 흐름을 연상시키는 ‘류(流)’벤치는 그의 대표작이다. 각지거나 모난 것보다는 둥글둥글하고 아기자기한 것을 좋아한다는 작가의 고백처럼, 물건은 지은이의 둥근 마음을 닮았다. 나무가 전하는 따뜻함에 매료된 그는 오늘도 부단히 수공구를 연마중이다. 공예의 정직한 ‘손맛’을 살려 지어진 가구들, 그래서 더욱 따뜻한 양웅걸 작가의 작업장을 MyMasters가 다녀왔다.

 

지금까지 해온 작업에 대해 소개해 달라.

처음엔 주로 목재만 가지고 작업을 했다. 그러다 최근엔 보다 다양한 디자인을 하고 싶다는 생각에 목재 이외 다른 소재에도 눈을 돌리고 있다. 알루미늄이라든가 가죽이라든가. 지금은 도자기 작가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중이다.

 

작업을 할 때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무엇인가?
디자인도 그렇지만 공예적인 특성을 항상 집어넣으려고 한다. 부재와 부재가 만나는 부분에서의 전통 짜맞춤이라든가, 그런 디테일한 부분들에서의 수작업을 통해 나만의 색깔을 표현하려고 노력한다. 결국에는 나무를 기본으로 하되 잘 만들어진, 예쁜 가구를 추구하고 있다.

 

비보이 출신 디자이너라고 들었다. 가구 제작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군대가기 전까지 비보이 활동을 7-8년간 계속 했었다. 당시에는 잘 몰랐는데 지금에 와서 생각해보면 그때 처음 몸으로 알았던 것 같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한다는 게 얼마나 행복한 일인가를 그때 몸으로 느꼈다. 그 후 군대를 갔는데 우연치 않게 공병으로 차출이 됐고 그곳에서 목공을 배웠다. 어렸을 때부터 워낙 만드는 걸 좋아해서 2년간의 군생활을 정말 재밌게 보냈다. 전역한 뒤 이왕이면 하고 싶은 걸 하자, 라는 마음에 목공과 비보이 사이서 많은 고민을 했다. 비보이는 아무래도 몸으로 하는 거니까 한계가 있지 않겠나. 그래서 최종적으로 목공을 택하게 됐다.

 

소재로서 나무의 매력은 무엇인가?
나무를 다루다보면 말로는 표현하기 힘든 세월의 깊이를 느낄 수 있다. 나무들은 나이테를 가지고 있지 않나. 한 번은 300년에서 500년 사이된 느티나무 가지목을 가지고 작업을 한 적이 있는데, 뭔가 마음이 경건해지는 느낌을 받았다. 소재 자체가 주는 따뜻함도 너무 좋고, 열심히 수공구를 연마해서 깎아나갈 때 깎여지는 느낌도 너무 좋고.

 

나무와 알루미늄의 만남, ‘덥석시리즈’가 인상적이다. 아이디어는 주로 어디서 얻나?

덥석 시리즈는 학교 다닐 때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안보람이라는 친구와 함께 만들었다. 둘이서 아이디어 회의를 많이 했는데 처음 표현을 하려 했던 건 나무와 알루미늄의 소재조합이다. 그후 나무가 알루미늄을 물었다, ‘덥석, 물었다’라는 느낌으로 이름을 그렇게 지었다. 작명을 영어가 아닌 한글로 하고 싶다는 욕심도 있었다. 그렇게 팀작업을 하다보니 자연스럽게 나온 디자인이다.

 

주문제작을 많이 하고 있다. 장단점이 있을 것 같다.
주문제작을 할 때 가장 좋은 점은 내가 보지 못한 부분들을 볼 수 있다는 거다. 가구들은 물론 내가 만들지만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고객들이지 않나. 그분들이 해주는 조언들이 다음에 가구제작을 할 때 큰 도움으로 다가온다. 단점이라 할 것은 크게 없다.

 

대량생산된 제품들 사이서 공예만의 가치, 매력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공예품과 제품의 가장 큰 차이는 손맛이다. 물론 저렴한 가격은 아니지만 하나의 공예품에는 그 작가만의 색깔이 있고 정성이 들어가 있다. 이 또한 아까 말한 것과 맥락이 비슷한데 말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것 같다. 사람의 감성이 묻어난 거고. 정성이 들어간 거니까 전체적인 분위기가 굉장히 따뜻하다고 생각한다. 일반 제품들에서는 볼 수 없는 감성적인 부분들을 공예품들이 충족시켜주는 듯하다.

 

작품들이 대체로 둥글다. 아이덴티티도 ‘평행곡선’이라 들었다. 작품에 담고 싶은 특별한 이야기가 있나?
내 작품에서 ‘둥글다’라는 느낌을 받는 건 나의 개인적인 취향 때문이다. 옛날부터 각지거나 모난 것보다는 둥글둥글하고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것들을 좋아했다. 아무래도 그런 취향들이 가구에 묻어난 듯하다. 또한 선들을 표현을 하려다보면 기술적으로 조금 더 어려운 기법들이 사용된다. 그런 데서 오는 희열을 느끼기도 하고. 뭔가 나만의 다른 것들을 표현할 수 있다는 생각 때문에 곡선적인 표현들을 사용하고 있다.

 

앞으로 어떤 공예가로 기억되고 싶나?
어떤 공예가네, 목수네, 가구디자이너네 이런 구별은 나에겐 별로 중요하지 않다. 난 그저 내가 만든 가구들을 대중들이 예뻐해주고 가구를 봤을 때 ‘저런 사람이 만들었다’라는 정도만 이뤄지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