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소득 줄었지만 공적자금 지원에 소득분배는 개선

[이코노뉴스=조희제 기자] 올해 우리나라 가구당 부채가 8000만원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가계빚은 저소득층과 40대, 자영업자 계층에 몰려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계층의 금융비용 부담도 커졌다‘

▲ (그래픽=통계청 제공)

17일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윰감독원이 발표한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가구당 평균부채는 8256만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7910만원)보다 4.4% 늘어났다.

부동산 등 자산가격 상승과 그에 따른 주택·전세 담보대출 증가, 코로나19 확산 초기 생계비 대출 증가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1가구당 총 자산은 지난해보다 3.1%(1352만원) 증가한 4억4542만원이었다.

이에 따라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2.9% 증가한 3억6287만원이다. 부동산 가격상승으로 자산과 부채가 상승한 결과다.

가구별 부채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부채 보유가구는 63.7%로 전년대비 0.2%포인트 하락했다. 금융부채 보유가구는 57.7%로 0.2%포인트 상승한 반면 임대보증금 보유가구는 0.5%포인트 감소했다.

소득기준으로는 저소득층 부채 증가비율이 고소득층에 비해 컸다. 소득 하위 40%인 소득 1분위와 2분위 가구의 부채 증감은 전년대비 각각 8.8%, 8.6%다. 4분위와 5분위는 같은 기간 1.4%, 5.3% 증가에 그쳤다. 소득이 적을수록 부채 비중이 증가했다는 의미다.

가구주 연령대별로는 40대 가구주인 가정이 1억1327만원으로 가장 많은 빚을 진 것으로 나타났고 ▲ 50대 9915만원 ▲ 39세 이하 9117만원 순이다. 자영업자 가구는 평균 1억1796만원을 빌렸는데 이는 상용근로자 1억6만원와 임시·일용직 근로자 3516만원보다 많았다.

2019년 기준 가구평균소득은 5924만원으로 2018년 5828만원에 비해 96만원 1.7% 증가했다. 근로소득이 0.3% 증가한 3791만원이고 사업소득은 2.2% 감소한 1151만원이다.

각종 장려금과 기초연금, 양육수당 등 복지 정책에 따른 수입이 포함된 공적이전소득은 387만원에서 457만원으로 70만원 18.3% 증가했다. 지난해 증가한 가계 소득 대부분이 가계의 소득증가가 아닌 나랏돈에서 왔다는 의미다.

세금과 이자 등 비소비지출은 1106만원으로 7만원(0.7%) 증가했다. 2018년 증감률 6.2%에 비해선 증가폭이 둔화됐다.

세금 지출이 0.7% 늘어난 357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공적연금·사회보험료 지출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353만원 ▲이자비용은 0.8% 늘어난 195만원이다. 기부 등 비영리단체 이전지출은 11%가 줄어 55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균등화 처분가능 소득 기준 지니계수(소득 분포의 불평등도를 측정하기 위한 계수,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도가 커진다)는 0.339로 전년대비 0.006포인트 하락했다.

상위 20% 소득을 하위 20%로 나눈 소득 5분위 배율도 6.54배에서 6.25배로 개선됐고, 중위소득 50% 기준 상대적 빈곤율은 16.3%로 0.4%포인트 줄었다.

정부 복지정책 수입·지출이 빠진 시장소득 기준으로는 상황이 바뀐다. 시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0.404로 전년 대비 0.002포인트 올랐고, 소득 5분위 배율 역시11.15배에서 11.56배로 커졌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