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통법 시행...기기변경 늘고 번호이동은 감소

2015-06-14     이혜경 기자

지난해 10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이후 이동통신사의 기기변경 가입자는 크게 늘어난 반면 번호이동 가입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미래창조과학부 등에 따르면 단통법 시행 전인 지난해 1∼9월 이동통신 3사의 유형별 가입자 비중(평균)은 신규가입이 34.8%, 번호이동이 38.9%, 기기변경이 26.2%였다.

번호이동이 가장 많고 기기변경은 가장 적은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단통법 시행 첫 달인 작년 10월부터 변화가 나타났다. 10월 이 비중은 신규가입 36.9%, 번호이동 25.3%, 기기변경 37.8%로 바뀌었다.

번호이동이 줄어들고 기기변경은 늘어난 것이다.

이런 추세는 시간이 갈수록 가속화되고 있다.

번호이동 가입자 비중은 4월 21.2%로 단통법 시행 후 최저점을 찍었다. 같은 달 기기변경 비중은 54.7%에 달해 반대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신규가입은 24.1%였다.

미래부 관계자는 "과거의 자료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지만 4월의 번호이동 비중, 기기변경 비중은 각각 사상 최저치, 사상 최고치에 해당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월에는 번호이동이 24.2%, 기기변경이 48.9%로 번호이동은 줄고 기기변경은 늘어나는 추세가 다소 후퇴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럼에도 단통법 시행 뒤 번호이동 가입자 비중은 꾸준히 30%를 밑돌고 있다.

정부는 이런 변화를 가입 유형에 따라 지원금에 차등을 두지 못하도록 한 단통법의 효과로 해석한다.

과거에는 이통사들이 가입자 뺏기 경쟁에 몰두하면서 지원금을 번호이동 가입자에게 몰아줬다.

그러다 보니 가입자들은 지원금 혜택을 보기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번호이동을 했는데 이제는 장기고객으로 남는 기기변경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