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거대시장 '드론·자율주행차' 경쟁력 강화...'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2015-05-29     이성주 기자

미래창조과학부는 29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최양희 미래부 장관과 산·학·연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무인이동체·엔지니어링산업 발전전략 보고회'를 열고 이들 산업에 대한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우선 '소형 드론'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국내 부품선도기업과 정부 출연연구기관(출연연)이 기술역량을 집중해 2∼3년 안에 선진국 수준으로 기술력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틸트로터 무인기=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2012년 세계 2번째로 핵심기술 개발에 성공하고도 실용화가 지연돼 온 '고속 수직이착륙 무인기(틸트로터)'를 내년부터 원양어군 탐지와 군 수요 등에 기반해 실용화 단계에 들어가기로 했다.

자율주행차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인지·판단기능에 사용되는 10대 핵심부품의 기술 개발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미래부에 따르면 무인기(드론)와 자율주행 자동차 등 세계 무인이동체 시장 규모 추정치는 올해 251억 달러로 이후 연평균 20%씩 성장을 거듭해 2025년에는 1537억 달러 규모로 급속히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국내 시장의 경우 자율주행차의 주요 부품 경쟁력이 글로벌 선두업체와 격차가 벌어져 있는데다 중소 부품업체마저도 수요처와 기술이 특정 대기업에 종속돼 있어 경쟁은 제한되고 기술적 자립도는 낮은 상황이다.

국내외에서 이미 핫이슈가 된 소형 드론의 경우 가격은 중국에 밀리고, 선진국에는 기술력이 뒤처져 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아직 생소한 스마트 무인농기계 기술력 확보에 나서는 한편 100% 해외 임대에 의존하고 있는 해양구조물 건설용 수중형 무인체 등 해양건설 무인화 장비 개발에도 힘을 쏟기로 했다.

무인이동체의 미래 선도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무인이동체 공통 기술개발과 차세대 무인이동체 원천기술개발은 중·장기 과제로 추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