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미국 정부 AI·슈퍼컴 인프라에 최대 74조원 투자..."'민간과 비슷한 수준의 AI·클라우드 활용 가능"
[이코노뉴스=이종수 기자] 아마존이 미국 정부의 인공지능(AI)과 슈퍼컴퓨터 인프라에 최대 500억달러(약 74조원)를 투자한다.
아마존은 24일(현지시간)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 아마존웹서비스(AWS)에 미국 정부 고객을 위해 약 1.3GW(기가와트) 규모의 추가 컴퓨팅 용량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투자에는 AWS 톱시크릿·시크릿·거브클라우드용 신규 데이터센터 인프라 구축이 포함된다.
정부 기관들은 엔비디아 칩과 아마존의 자체 칩 '트레이니엄'을 장착한 AI 인프라를 통해 앤트로픽의 '클로드'와 아마존 '노바' 등 인공지능(AI )모델을 사용하게 된다.
아마존은 여기에 더해 모델 훈련·튜닝을 위한 '아마존 세이지메이커 AI'와 모델·에이전트 배포 서비스인 '아마존 베드록'도 제공한다.
뉴시스에 따르면 아마존은 이 같은 인프라를 통해 정부가 시뮬레이션과 데이터 모델링, 글로벌 안보 관련 데이터의 신속한 처리, 공급망 정보 분석을 보다 정교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위성 이미지와 각종 센서 데이터를 분석해 위협을 탐지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어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도 AI 인프라가 활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맷 가먼 AWS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투자는 그동안 정부의 발목을 잡아온 기술적 장벽을 제거하고 미국이 AI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는 것"이라며 "정부 부문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해 민간과 비슷한 수준의 AI·클라우드 활용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