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韓日 ‘저비용 사회’로의 전환 고민해야”…세가지 협력축 제안

2025-11-21     최아람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왼쪽)이 21일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열린 '도쿄포럼 2025'의 비즈니스 리더 세션에 참석해 토론하고 있다. 오른쪽은 이와이 무츠오 일본경제동우회 회장 대행 겸 일본담배산업 이사회 의장 (사진=SK그룹)

 

[이코노뉴스=최아람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최종현학술원 이사장은 “한국과 일본은 더 빠른 이익을 추구하는 전통적 자본주의의 한계를 넘어서, 사회 전체 비용을 낮추는 ‘저비용 사회’로의 전환을 고민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세 가지 협력 축을 제안했다. 

최태원 회장은 이날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열린 ‘도쿄포럼 2025’ 비즈니스 리더 세션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최 회장은 “한국과 일본은 모두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다”며 “에너지를 함께 저장하고, 함께 공유하고, 함께 운용하면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두 번째로 고령화로 급증하는 의료비 문제는 양국이 각각 인프라를 구축하면서 중복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고 그는 밝혔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1일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열린 '도쿄포럼 2025'의 비즈니스 리더 세션에 참석해 토론하고 있다. (왼쪽부터) 후지이 테루오 도쿄대 총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와이 무츠오 일본경제동우회 회장대행 겸 일본담배산업 이사회 의장

 

최 회장은 “보험 체계가 다르더라도 일부 상호 인정 제도를 도입하면 양국의 고령층이 서로의 의료·요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사회적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세 번째로 스타트업 협력을 통해 한·일 양국을 ‘사회 문제 해결 테스트베드’로 만들 수 있다”며 “사회 문제를 해결한 스타트업에 사회적가치 크레딧을 부여한다면 사회 비용 절감과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 회장은 “이러한 접근은 한·일이 공동으로 새로운 자본주의 모델을 만들어가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이날 저비용 사회 구축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저비용 사회를 만든다면, 경제·민간 측면에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1일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열린 '도쿄포럼 2025'의 비즈니스 리더 세션에 참석해 토론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철희 일본 국제문화회관 특별고문(前 주일대사), 후지이 테루오 도쿄대 총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와이 무츠오 일본경제동우회 회장대행 겸 일본담배산업 이사회 의장, 이한주 뉴베리글로벌 회장

 

최 회장은 "전통 자본주의가 금전적인 효율성을 강조했다면, 이제 사회적가치에 대한 효율성도 고려해야 한다"며 "사회적가치에 인센티브를 도입하고, 사람들의 두뇌 활용을 극대화시켜야 한다"고 설명했다.
 
자본주의는 본래 탐욕을 기반으로 한 만큼, 인센티브가 모든 차이를 만든다는 의미다.

최 회장은 “지금까지는 얼마나 많은 사회 문제가 있는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비용이 드는지 측정하기가 어려웠다”며 “이제 AI와 디지털 기술, 데이터가 있기 때문에 사회적가치 비용이나 창출 가치를 정량화 할 수 있다. 이제 경제 활동을 통해 얻는 재무적 이익과 사회 문제를 줄이는 사회적가치 두 가지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도쿄포럼은 최종현학술원과 일본 도쿄대가 급격한 기술 발전, 지정학적 불안정 등 글로벌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19년부터 매년 공동 개최해온 국제 포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