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2020년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본격 양산"
현대·기아차가 2020년까지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에 나선다.
현대자동차는 31일 인천시 송도 국제업무지구에서 '미리보는 서울모터쇼' 행사를 열어 미래 스마트카의 핵심인 자율주행 기술 개발 로드맵을 공개했다.
현대차의 자율주행 기술은 운전자가 도로에서 직접 운전을 하는 것을 전제로 운전 본연의 목적과 재미를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돌발상황에서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확보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자동으로 운전을 보조해 주는 자율주행 기술은 차량 IT(정보기술) 발전에 힘입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자동차 회사뿐 아니라 구글 등 IT 업체들까지 자율주행 기술 연구에 직접 뛰어들고 있어 향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현대·기아차는 앞선 전자·제어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부품 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자율주행 기술의 국산화를 달성하고 자율주행 자동차의 대중화 시대를 이끈다는 계획이다.
현대·기아차는 대규모 양산화를 염두에 두고 ▲차량 성능 ▲내구성 ▲생산공정 ▲가격 ▲디자인 등을 모두 고려한 최고의 상품성 구현을 위주로 개발을 진행해 왔다.
특히 뛰어난 전자·제어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부품업체와의 협업을 진행해 자율주행 기술의 국산화를 달성하고, 차세대 스마트카의 대중화 시대를 선도해나갈 계획이다.
현대·기아차는 미래 스마트카 시장의 최종 지향점인 자율주행 기술과 관련해 이미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LDWS) ▲차선유지 지원 시스템(LKAS) ▲후측방 경보 시스템(BSD)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ASCC) ▲자동 긴급제동 시스템(AEB) 등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등 첨단 기술을 주요 양산차에 적용하고 있다.
현대차는 앞서 지난 1월 중장기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2018년까지 자율주행과 차량 IT 기술 개발이 중심이 되는 차세대 스마트카 개발에 2조원을 투자하고 관련 연구 인력을 대거 채용한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2020년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를 달성하기 위한 첫 걸음으로 우선 진일보한 자율주행 기술인 '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HDA)'을 국산차 최초로 양산화, 올 하반기 나올 신형 에쿠스에 처음 적용키로 했다.
현대차의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의 바탕이 될 또 다른 기술은 '혼잡구간 주행지원 시스템(TJA)'이다.
이는 차량 정체와 끼어들기 등이 빈번한 도심 구간에서 진가를 발휘하는 차세대 자율주행 기술로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도심 구간에서 앞차와의 거리와 차선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또 차선 인식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레이더와 카메라로 주변 차량과 사물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차량을 운행토록 하는 게 특징이다.
현대차는 이날 신형 제네시스에 선행 연구용으로 탑재된 TJA를 처음 공개 시연했다.
정 락 현대ㆍ기아차 총괄PM담당 부사장은 "안전한 차가 전세계 업계의 화두가 된 상황에서 현대ㆍ기아차는 위험요소를 사전에 감지하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지능형 안전차량'의 개발에 더욱 매진해 스마트카 시장에서 선두권 업체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