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 특별사면, 재계 반응은?…‘아쉬운 부분 있지만 환영’(종합)

2015-08-13     이종수 기자

정부가 13일 광복 70주년을 맞아 8·15 특별사면 대상을 발표한 가운데 재계는 경제인 특별 사면에 대해 환영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렇지만 사면 폭에 있어 다소 아쉽다는 반응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재계를 대표해 “대통령께서 광복 70주년을 맞이해 경제인들에 대한 특별사면과 특별복권이라는 용단을 내린 것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어 전경련은 “경제계는 이를 경제 살리기와 국민통합에 경제계가 앞장서달라는 뜻으로 이해하고, 경제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하는 바”라며 “이를 위해 경제계는 어려운 경제여건에도 불구하고 투자 활성화와 청년고용 확대 등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매진함으로써, 우리경제가 활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는 논평에서 “경제계는 광복절 특별사면을 계기로 대한민국 경제의 재도약과 상생협력을 통한 국민대통합이 촉진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우리 기업들은 지난 70년의 압축성장 과정에서 높아진 경제적 지위만큼 사회적 신뢰를 얻으려는 노력이 부족했음을 반성한다”며 “경제인 사면의 뜻을 살려 선진적 기업문화를 더욱 뿌리깊게 정착시켜 모범적인 기업으로 거듭나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가의 미래번영을 이어가기 위한 중장기 구조개혁과 기초체력 회복을 위해 경제계에 주어진 책임과 역할을 다해 나가겠다”는 말로 마무리했다.

김현웅 법무부장관은 이날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최태원 SK 회장, 한화그룹 김현중 고문과 홍동옥 고문 등을 포함한 사면 대상자 6527명을 발표했다.

최태원 회장은 형집행을 면제해주는 특별사면과 함께 특별복권을 동시에 받았다. 복권을 받음에 따라 계열사 등기이사 복귀가 가능해졌다. 최 태원 회장은 경영일선에 복귀하는데 무리가 없게 됐다.

SK그룹 측은 “SK와 전 구성원은 정부의 이번 결정에 대해 정부와 국민들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며 “SK그룹 전 구성원은 이번 결정이 국민 대통합과 경제활성화라는 취지에서 단행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공식입장을 발표했다.

아울러 “국민들의 바람인 국가발전과 경제활성화에 모든 노력을 경주해 나갈 것”이라며 “국민들로부터 사랑받는 기업이 되기 위해 진력을 다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렇지만 최 회장을 제외한 다른 총수들은 이번 사면에 포함되지 않았다. 김승연 한화 회장을 비롯해 최재원 SK그룹 부회장, 구자원 LIG회장, 구본엽 전 LIG건설 부사장, 구본상 전 LIG넥스원 부회장 등의 이름이 빠졌다.

한화그룹은 마지막까지 김승연 회장 사면여부에 대해 촉각을 기울였지만 이번 사면에서 제외되면서 “안타깝게 생각한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이어 “정상적인 경영활동에 제약이 있지만, 앞으로도 계속 투자와 일자리 창출 등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도록 그룹의 모든 역량을 다할 계획”이라며 “사랑 받는 기업이 되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번 대대적 사면의 취지에 대해 경제 활성화를 위한 것이라고 내세웠다. 그렇지만 실제적으로 경제인에 대한 특별 사면이 14명에 그치면서 사면 폭이 아쉽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한국무역협회는 “광복 70주년을 앞두고 있고 아울러 지난 8.6일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를 통해 4대 개혁의 완수와 경제 재도약을 이루기 위해 모든 경제주체들의 하나 된 노력을 주문했다”며 “무역업계는 국민 대통합과 경제 재도약을 위해 기업인을 포함한 경제주체들에 대한 대폭적인 사면을 기대했으나 소폭 사면에 그쳐 다소 아쉽다”는 공식입장을 내놓았다.

이어 “성장, 고용, 복지 등 오늘날 한국경제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의 대부분은 기업에 그 답이 있고 청년일자리 창출의 주체도 기업”이라며 “그러한 측면에서 정부를 포함한 모든 경제주체들은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고 기업이 보다 많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가 시장원리에 충실한 경제운영을, 기업들은 글로벌 기업가정신의 함양을 통해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더욱 분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재계 관계자는 “롯데 사태 등으로 인해 대기업 총수들의 사면 폭이 줄어들은 것으로 보인다”며 “경제 창출을 위해서는 총수들의 사면이 중요한 상황에서 소폭의 사면은 아쉬운 점이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