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뉴스=어 만 기자] 수많은 종목이 거래되고 있는 상황에서 ‘옥석 가리기’는 언제나 중요한 투자 전략이다.

대내외 변수로 국내 증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진흙속의 진주를 찾아내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이유다. 전문가들은 저(低)PBR(price-to-book ratio·주당순자산비율)과 저PER(price earning ratio·주가수익비율) 기업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PBR은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PBR이 낮을수록 자산가치 대비 주가가 낮게 형성돼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업군별로 어떤 기업이 자산 대비 주가가 매력적인지 알아낼 수 있는 주요 지표다.

PER은 특정 주식의 주당시가를 주당이익으로 나눈 수치다.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낸다. 어떤 기업의 주식가격이 5만4000원이라 하고 1주당 수익이 1만1000원이라면 PER는 4.9가 된다.

PER이 높다는 건 주당이익에 비해 주식가격이 높다는 걸 의미하고 PER이 낮다는 것은 그 반대다. PER이 낮은 주식은 주식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이코노뉴스는 경영 및 투자 분석 전문인 I.H.S버핏연구소와 함께 저PBR 저PER 기업을 분석, 정리한다./편집자주

식품업계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보복과 관련, 중국 정부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 식품 역시 중국에 진출한 업체가 많은 데다 직접 섭취하는 제품의 특성상 통관 등을 둘러싼 까다로운 규제나 허가 등으로 경제보복이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기 때문이다.

사드 때문에 한국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 중국 소비자들의 불매 운동에 대한 걱정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일단 제과업계와 유(乳)업계 등은 사드 보복의 직접적인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오리온이나 농심, 롯데제과 등 국내 식품업체들은 현지에 법인을 세우고 현지 공장을 통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통관 등 기본규제에서는 자유로운 편이다. 그렇다고 무조건 안심을 할 수만은 없다.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세무조사, 규제강화 등 불안 요소는 항상 불거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롯데그룹의 경우 롯데제과 등 중국에 진출한 계열사들이 최근 강도 높은 세무조사를 받기도 했다.증권가에서는 오리온에 대해서도 “중국의 한한령(限韓令) 여파로 상반기에는 부진한 실적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오리온은 매출의 56% 가량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버핏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4월 12일 기준으로 제약업 중 가장 낮은 PER을 기록한 업체는 농심홀딩스다. 농심홀딩스의 PER은 6.3이다. 크라운해태홀딩스(8.1)가 2위이며, 동우와 팜스토리가 8.3으로 공동 3위다. 농심은 9.6을 기록했다.

▲ <자료제공=버핏연구소>

농심홀딩스는 지난 1개월간 주가가 1.93% 상승했다. 같은 기간 주가움직임의 위험지표인 표준편차는 1.4%를 기록했다. 이는 코스피 업종내에서 주요 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농심홀딩스의 월간 주가수익률이 상당히 높았지만 변동성은 적정한 수준을 유지했다는 뜻이다

대한제당(PER 9.7)은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47억9387만원으로 전년 동기(229억571만원) 대비 95.55% 급증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조2642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2457억원)에 비해 1.48% 증가했다. 또 지난해 340억2400만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