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뉴스=송재소 다산연구소 이사]

1. 선비는 누구인가

유교 경전에서 우리말의 선비에 가까운 명칭으로는 군자(君子), 사(士), 유(儒) 등을 들 수 있다. 이 말들은 쓰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재주와 덕(德)이 높은 사람’, ‘ 지혜롭고 현명한 사람’의 뜻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독서하는 지식계층이라는 공통점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본다면 선비는, 인간으로서 지녀야 할 최고의 덕성(德性)을 갖춘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다.

▲ 서울 동작구 사육신공원 의절사에서 열린 사육신 순절 추모제향에서 참석자들이 제를 올리고 있다./뉴시스 자료사진

논어(論語)에는 이러한 선비의 모습이 여러 각도에서 묘사되어 있다. 증자(曾子)가 말하기를“선비는 뜻이 광대하고 강인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임무가 무겁고 길이 멀기 때문이다. 인(仁)으로 자기의 임무를 삼으니 무겁지 아니한가. 죽은 뒤에야 그칠 것이니 또한 멀지 아니한가”라 했다.(泰伯·태백)

자로(子路)가 묻기를“ 어떻게 하여야 선비라 할 수 있습니까”라고 하니 공자가 말하기를 “ 간곡하게 선(善)을 권면(勸勉)하고 화평한 모습을 가져야 선비라 할 만하다. 친구에게는 간곡하게 선을 권면하고 형제에게는 화평한 모습을 갖는 것이니라”고 하였다.(子路)

이 말들을 종합하면 선비는, 크게는 인(仁)을 자기의 임무로 삼고 죽을 때까지 그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사람이며, 작게는 대인관계에 있어서도 매우 조심스럽고 까다로운 덕목을 지닌 사람이다.

‘맹자’에서도 “항산(恒産)이 없어도 항심(恒心)을 갖는 것은 오직 선비만이 그렇게 할 수 있다”(梁惠王上·양혜왕상)라 하여 선비의 존재가 어떠한 것임을 밝혀 놓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선비를 지극히 존귀한 존재로 여겼다.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은 “ 한 선비가 독서를 하면 그 은택이 사해(四海)에 미치고 그 공이 만세에 드리워진다”고 했다.(原士·원사) 나아가 연암은 같은 글에서 천자(天子)도 본래 선비라고 말하여 선비의 본원적 우월성과 항존적(恒存的) 가치를 강조했다.

선비의 존재가 이러하기 때문에 그는 “천하의 공변된 말을 사론(士論)이라 하고, 당대의 제일류를 사류(士流)라 말하며, 천하에 의로운 목소리를 외치는 것을 사기(士氣)라 하고, 군자가 죄 없이 죽는 것을 사화(士禍)라 하며, 학문을 강론하고 도(道)를 논하는 곳을 사림(士林)이라 말한다.”(原士·원사)라 했다.

이처럼 모든 사람들의 도덕적 표준이 되는 사람이 선비이다.

2. 선비정신의 본질 - 의(義)

그러면 선비는 어떠한 덕성을 지녀야 하는가? 어떠한 덕성을 지니고 어떻게 생활해야 참다운 선비가 될 수 있는가? 이것이 선비정신의 본질이 될 것이다.

다시 연암의 말에서 실마리를 풀어 보고자 한다.

내가 말하는 선비란, 그 뜻은 어린아이와 같으며 그 모습은 처녀와 같이 하여 평생 문을 닫아 걸고 독서하는 자이다. 어린아이는 비록 연약해도 그 사모하는 것이 전일(專一)하고, 처녀는 비록 졸박(拙樸)해도 그 지키는 것이 확고하다.(原士·원사)

바른 선비는 어린아이와 같고 처녀와 같다고 했다. 그 이유로, 어린아이는 사모하는 것이 전일(專一)하고 처녀는 지키는 것이 확고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어린아이가 사모하는 것은 어머니의 품일 것이다. 어린아이는 어떠한 경우에도 어머니의 품만을 오로지 그리워한다. 처녀가 지키는 것은 순결일 것이다. 순결을 잃으면 처녀가 아니기 때문에 처녀는 목숨을 걸고 순결을 지킨다.

선비가 어린아이와 같고 처녀와 같아야 한다는 말은, 어린아이나 처녀와 같이 전일(專一)하게 사모하는 것이 있고 확고히 지키는 것이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러면 선비가 사모하고 지키는 것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그것은 다름 아닌 도(道)와 의(義)이다. 도는 다소 추상적인 개념으로 일반적인 진리를 지시하거니와, 선비의 덕목으로 가장 중시되는 것은 의이다.

선비가 의를 행동의 준거로 삼아야 한다는 점은 논어에서 이미 강조되고 있다. 공자는 “군

자는 … 의를 좇을 따름이다”(里仁·이인),라 말하고 “의롭지 못한 부(富)와 귀(貴)는 나에게 뜬구름과 같다”(述而·술이)고 하여 의(義)에 따라 살아가겠다고 천명한 바 있다.

맹자 또한 “생(生)도 내가 바라는 바이고 의(義)도 내가 바라는 바인데 이 두 가지를 함께 얻을 수 없으면 생을 버리고 의를 취할 것이다”(告子上·고자상)라 했다. 이렇게 생을 버리고라도 의를 취하려는 자세가 선비정신이라 말할 수 있다.

의(義)는 무엇인가? 맹자가 말하기를 “인(仁)은 사람이 편히 쉴 수 있는 집이요 의(義)는 사람이 걸어가는 올바른 길이다”(離婁上·이루상)라 했다. 올바른 길 즉 ‘정로(正路)’를 걷는 것이 의이다.

▲ 박근혜 대통령이 4일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한 후 허리 숙여 인사하고 있다./뉴시스 자료사진

의의 반대개념은 리(利)이다. 무릇 의는 인간이 행해야 할 떳떳한 도리요 모든 행위의 규범이 되기 때문에 공의(公義)의 성격을 지니며, 리는 개인의 물질적 욕망 추구에서 생기므로 사리(私利)의 성격을 지닌다.

정자(程子)도 말하기를 “무릇 의(義)에서 벗어나면 리(利)로 들어가고 리(利)에서 벗어나면 의(義)로 들어가는 것이니 천하의 일은 오직 의(義)와 리(利)일 따름이다”라고 하여 리를 버리는 것이 곧 의임을 밝히고 있다.

이 중의경리(重義輕利)의 자세를 극명하게 보여 주는 사례가『학봉선생 언행록』의 다음과 같은 기록이다.

어느날 자제들에게 검(劍)을 나누어 주면서 말씀 하시기를 “너희들은 내가 검을 나누어 주는 뜻을 알겠느냐? 모름지기 이 검으로 의(義)와 리(利)의 관계를 베어 끊어서 의(義)를 취하고 리(利)를 버릴 것을 분별케 함이니라”고 하셨다.

학봉 선생이 자제들에게 검을 나누어 준 것은, 그것으로 사리(私利)를 베어서 끊어 버리고 공의(公義)를 취하여 위선거악(爲善去惡)하라는 의도에서였다.

여기서 우리는 조선조 선비정신의 한 전형을 볼 수 있다.

3. 선비정신은 어떻게 구현되는가

우리 역사에서 의(義)를 중시하는 선비정신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생을 버리고 의를 취한 포은 정몽주 선생, 대의를 지키기 위하여 죽음을 택한 사육신은 선비정신의 표상이다.

“첫 벼슬에 나아간 지 40년 동안 네 임금을 섬기면서 출처와 진퇴를 한결같이 의에 따랐다. 의에 거리낌이 있으면 반드시 몸을 받들고 물러났었던” 퇴계 선생 역시 선비로서 가장 중요

한 덕목인 의를 몸소 실천한 진정한 선비였다.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선비정신이 가장 잘 드러난다. 임진왜란 때 전국의 선비들이 앞장서서 의병(義兵)을 일으킨 것이 좋은 예이다. 의병이란 문자 그대로 의를 수호하기 위한 군사이다.

식민지 시대의 의사(義士)들 또한 선비정신의 꽃이라 할 만하다. ‘의사’는 의로운 선비라는 뜻이다. 안중근 의사, 윤봉길 의사 등이야말로 이 땅의 참다운 선비들로 ‘사생취의(捨生取義)’의 모범을 보여 주었다.

우리나라가 수없이 많은 정치적 혼란을 겪었고 여러 차례 외침(外侵)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나라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바로 선비정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선비정신은 오늘 우리에게도 절실히 요청된다. 사리(私利)와 공의(公義)의 구분마저 흐려져 가는 오늘과 같은 시대일수록 선비정신으로 단단히 무장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