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시간 단축으로 2020년까지 최대 33만6000명의 고용이 감소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5일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경제적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 뉴시스 그래픽

한경연은 근로시간 단축에도 불구하고 생산성 향상과 자본 가동률이 확대되지 않는다면 2019년 약 10만3000개, 2020년에는 약 23만3000개의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근로시간 단축은 고소득층 소득 증가에 따른 소득재분배 악화가 아닌 저소득층 소득 감소에 따른 소득재분배 악화를 초래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경연은 계약 형태별로 2020년 정규직이 13만2000개 이상, 비정규직이 10만개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2020년 중소기업의 일자리가 17만2000개 감소하고, 대기업의 일자리가 6만1000개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중소기업의 비정규직이 약 9만 3천개 줄어 가장 큰 폭으로 고용이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뉴시스에 따르면 한경연은 근로시간 단축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고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한경연은 일차적으로 임금과 가격변화의 크기에 따라 고용이 결정될 것으로 분석했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야근수당이 줄면 근로자의 임금보전 압력이 커지고 시간당 임금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한경연은 ▲노동시장의 경직성 ▲호봉급 임금체계 ▲강성 노조 등에 따라 임금보전이 불가피하다며, 한번 고용하면 해고가 어렵기 때문에 기업은 신규고용보다는 제품가격을 올려 근로시간 단축에 대응할 것으로 예상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