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뉴스=조희제 기자] 올해 3분기 가계의 근로소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또한 저소득층 가구의 소득이 직격탄을 맞으며 계층간 소득 양극화가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 올해 3분기 가계의 근로소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사진은 서울 중구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 실업인정 관련 상담 창구의 모습. /사진=뉴시스

19일 통계청의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347만7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3만8000원) 줄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3분기 근로소득이 전 분기보다 줄어든 것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0.5%) 이후 처음이다. 근로소득이 두 분기 연속 감소한 것도 사상 처음이다.

임시·일용직이 많은 저소득층일수록 근로 감소 폭이 두드러졌다. 소득 하위 20%의 근로소득은 전년 동기 대비 10.7% 줄어 모든 소득 계층 중 가장 많이 감소했다.

올해 3분기 임시 일용직 일자리는 1년 전과 비교해 39만2000개가 사라졌다. 소득 상위 20%의 근로소득은 같은 기간 0.6% 준데 그쳤다.

사업소득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업황 부진과 자영업자 감소로 1.0% 줄었다. 사업소득 감소 폭도 소득 하위 20% 계층에서 제일 크게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고용시장이 나빠졌고 취업자 수가 줄며 근로소득이 줄었다”며 “물가 상승률의 영향 등으로 근로소득은 보통 올라가기 마련인데 이례적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가구당 전체 소득은 월평균 530만5000원으로 지난해보다 1.6% 늘었다. 이전소득이 17.1% 증가하며 소득 감소를 떠받쳤다. 특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소상공인희망자금, 긴급고용안정지원금, 2차 긴급재난지원금 등 공적이전소득이 역대 최대인 29.5% 늘며 소득 증가의 주요부분을 차지했다.

정부의 노력에도 소득 분배 지표는 나빠졌다.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 소득으로 나눈 5분위 배율은 4.88배로 지난해 같은 기간(4.66배)보다 커졌다. 공적이전소득을 제외하고 근로 사업 재산 사적이전소득을 합한 ‘시장소득’을 기준으로 한 5분위 배율은 8.24배로 격차가 더욱 커진다.

정부는 고용 충격에 대비하기 위해 4차 추가경정예산 등 다양한 정책을 써 왔지만 분배 악화를 막지 못했다고 밝혔다.

코로나 재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만큼 4분기(10~12월) 소득 분배 여건이 악화될 것이란 전망도 내놨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열고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늘고 있어 4분기 여건도 녹록치 않아 시장 소득 회복을 지원하는 적극적 정책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