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만에 취업자 4달 연속감소…실업률 4.3%·청년실업률 10.7%·실업자 122만명 기록

[이코노뉴스=이성주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6월 취업자수가 35만명이상 줄었다. 실업률과 실업자수는 통계작성을 시작한 1999년이후 최고치로 치솟았다.

▲ 지난 6월 실업률과 실업자수가 통계작성을 시작한 1999년이후 최고치로 치솟았다. 사진은 서울 중구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 실업인정 관련 상담 창구의 모습. /사진=뉴시스

통계청은 15일 ‘6월 고용동향’을 통해 지난 6월 취업자수는 2705만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만2000명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취업자수는 지난 3월이후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4개월 연속으로 취업자수가 감소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었던 2009년10월∼2010년1월 이후 약 10년 만이다.

취업자 수 증감을 업종별로 보면 숙박·음식점업(-18만6000명), 도·소매업(-17만6000명), 교육서비스업(-8만9000명), 제조업(-6만5000명) 등에서 많이 줄었다.
반면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6만4000명), 농림어업(5만2000명), 운수·창고업(5만명) 등은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33만8000명)만 취업자수가 증가하고 30대(-19만5000명), 40대(-18만명), 20대(-15만1000명), 50대(-14만6000명)에서 모두 줄었다. 특히 15∼29세 청년층 취업자가 17만명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근로자(-40만8000명), 일용근로자(-8만6000명)는 감소한 반면 상용근로자(34만9000명)는 늘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17만3000명, 무급가족종사자는 5만3000명 각각 감소했다. 반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만8000명 증가했다.

통계상 취업자로 분류되는 ‘일시휴직자’는 1년 전보다 36만명(97.7%) 늘어난 72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3월(160만7000명), 4월(148만5000명), 5월(102만명) 등 3개월 연속 100만명대를 기록했으나 6월에는 규모가 다소 줄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달 기준 2010년 6월(60.0%) 이후 10년 만에 최저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전 산업에 코로나19 영향이 미쳤으며 가장 두드러진 것은 대면서비스업이었다"면서 "코로나19 영향으로 대면서비스 쪽에서 고용 상황이 안 좋아져 일시휴직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9%로 1년 전보다 1.3%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달 기준 2014년 6월(65.9%) 이후 최저다.
특히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1.2%포인트 줄어든 42.0%를 기록했다. 20대(-2.5%포인트), 30대(-1.1%포인트), 40대(-1.6%포인트), 50대(-1.7%포인트) 모두 하락했다.
반면 60세 이상(0.6%포인트)만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중단됐던 노인 일자리 사업이 재개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경제활동인구는 2828만3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6만2000명 줄었다. 4개월 연속 감소다.
경제활동참가율은 1년 전보다 1.0%포인트 하락한 63.2%로 6월 기준 2013년(62.7%) 이후 최저치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54만2000명 늘어난 1649만2천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쉬었음’으로 분류된 사람은 229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28만9000명 늘었다.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6월 기준 최대다. 20대(9만1000명 증가)를 비롯해 전 연령층에서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53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2만4000명 증가했다.
실업자 수는 9만1000명 늘어난 122만8000명, 실업률은 0.3%포인트 오른 4.3%였다.
실업자와 실업률 모두 같은 달 기준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9년 이후 최고치다.
청년층 실업률은 10.7%로, 같은 달 기준 1999년(11.4%) 이후 최고였다.
체감실업률을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년 전보다 2.0%포인트 오른 13.9%였다. 6월 기준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다.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2.2%포인트 오른 26.8%였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