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8% 증가한데 비해 코로나19 확산 3~4월 급증 양상…서울은 1만명이상 유출

[이코노뉴스=이성주 기자]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지방 인구의 수도권 유입이 대폭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20대 청년층의 수도권유입이 두드러졌다.

▲ 코로나19 여파로 지방 인구의 수도권 유입이 대폭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공공기관 채용정보 박람회'를 찾은 청년구직자들이 취업정보를 살펴보고 있는 모습. /뉴시스 자료사진

한국고용정보원이 6일 발표한 '지역 고용 리뷰'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가 확산한 올해 3∼4월 수도권 유입 인구는 2만75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2800명)보다 2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이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고용 충격으로 비교적 일자리가 많은 수도권에 청년층 인구가 몰린 때문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 확산세가 본격화하기 전인 지난 1~2월만 해도 수도권 유입 인구는 2만82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만6100명보다 8.0% 증가하는 데 그쳤다.

통상 수도권 유입 인구는 1~2월은 입학과 취업 등으로 크게 늘었다가 3~4월에는 급감하는 패턴을 보이는데 올해는 3~4월 수도권 유입세가 많이 꺾이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 3∼4월 인구 이동 현황을 시·도별로 보면 인구 유입이 발생한 곳은 단 두 개 지역으로 경기와 세종이 각각 4만2300명, 1000명이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1만500명이 유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올해 3∼4월 수도권 유입 인구 가운데 20∼24세가 1만1900명, 25∼29세가 8800명으로 나타나 수도권 유입 인구의 75.5%를 20대가 차지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이 심화돼 '인구 소멸' 위험에 빠진 지역도 늘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이 심화돼 '인구 소멸' 위험에 빠진 지역도 늘었다.

올해 5월 기준으로 전국 시·군·구 228곳 가운데 소멸 위험 지역은 105곳으로, 지난해(93곳)보다 12곳 증가했다. 이번에 소멸 위험 지역에 새로 포함된 시·군·구 중에는 부산 서구, 인천 동구, 대구 서구도 포함됐다.

소멸 위험 지역은 20∼2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로 나눈 소멸 위험 지수가 0.5 미만인 곳으로 저출산·고령화가 심각한 지역으로 볼 수 있다.

고용정보원 관계자는 이와 관련,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라며 "불황기에는 상대적으로 고용 상황이 덜 나쁜 수도권으로 인구 이동이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고용정보원은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로 대량 실업이 발생하자 연간 수도권 유입 인구가 1998년 9000명에서 2002년 21만명으로 급증한 것도 이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