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창출력 지표인 취업계수 지속 약화…"근로시간 단축해 고용창출력 높여야“

제조업과 수출기업의 고용창출력이 다른 업종에 비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현대경제연구원의 '경제의 고용창출력 약화, 그 해법은'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산업 취업계수는 지난 2006년 26.1명에서 2016년 23.0명으로 하락했다.

▲ (그래프=현대경제연구원 제공)

취업계수란 10억원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사람수를 의미하며 고용창출력 평가에 사용되는 지표다. 취업계수의 하락은 우리 산업의 고용창출력이 점차 떨어지고 있다는 뜻이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2016년 제조업, 서비스업, 건설업의 취업계수는 각각 10.5명, 23.0명, 28.0명으로 제조업의 고용창출력이 서비스업 또는 건설업에 비해 취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들 업종의 2011년 대비 2016년의 취업계수는 각각 95.8%, 96.1%, 88.5%로 나타났다.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해온 건설업의 취업계수 하락속도가 타 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 규모별로는 2015년 종사자 규모 10~299명 사업체와 300명 이상 사업체의 취업계수는 각각 3.4명, 1.1명으로 대규모 사업체의 고용창출력이 소규모 사업체에 비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을 나눠서 살펴보면 매출액 대비 종사자수는 각각 1.2명, 1.9명으로 수출위주 기업의 고용창출력이 내수위주 기업에 비해 다소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고용창출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을 확대하고 노동시장 미스매치를 해소하는 게 급선무라고 지적했다.

김수형 연구원은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지출은 고용률 제고에 효과적인데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에 비해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지출비중은 낮은 편"이라며 "또 학력 등에 따른 노동시장 미스매치를 해소해 고용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단기적인 방안으로는 "경제의 취약한 고용창출력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고용창출력이 양호한 서비스업 육성과 제조업의 산업경쟁력 회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