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보다 14.8% 늘어나…평균 부동산자산은 28억6천만원에 달해-일반 가계의 11배 수준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부자들이 1년 전에 비해 14.8% 증가한 약 24만2000명으로 추정됐다.

이들이 갖고 있는 부동산 규모는 평균 28억6000만원으로 우리나라 일반가계가 평균적으로 갖고 있는 부동산자산(2억5000만원)의 11배 수준이다.

▲ (자료=KB경영연구소 ‘2017 한국 부자 보고서')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가 1일 발간한 '2017년 한국 부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KB경영연구소가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보유한 개인 응답자 400명을 대상으로 지난 4~5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이들의 거주지역을 살펴보면 서울이 약 10만7000명으로 전국 부자수의 44.2%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경기 5만명(20.8%), 부산 1만7000명(6.9%) 순으로 나타났다.

인구 대비 부자수 비율은 서울이 1.07%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으며, 부산 0.48%, 대구 0.44%, 경기 0.40%, 제주 0.3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서울만 놓고보면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등 강남3구가 약 3만9000명으로 서울 전체 부자수의 36.1%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양천구, 동작구, 영등포구 순으로 분석됐다.

경기도의 경우 성남시가 약 9000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용인시, 고양시, 수원시 순이었다.

서울과 수도권에서도 서울 강남3구 비중이 2014년 37.5%에서 2016년 36.1%로 하락했고, 경기도에선 성남시, 용인시, 고양시 등 상위 3개 시의 비중이 43.8%에서 42.3%로 하락해 지역적 쏠림 현상이 지속적으로 약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6대 광역시의 경우 부산은 해운대구(3600명)의 부자수가 가장 많으며, 대구 수성구(4400명)의 경우 광역시 구 단위에서는 부자 수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분석됐다.

이들 한국 부자가 보유하고 있는 금융자산은 2015년 476조원에 비해 16.0% 증가한 약 552조원으로 추정됐다. 이는 전체 국민의 상위 0.47%가 가계 총 금융자산의 16.3%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자산 구성비는 부동산자산(주택, 건물, 상가, 토지 등) 52.2%, 금융자산 44.2%, 기타자산(예술품, 회원권 등) 3.6%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구성-부동산 52%, 금융자산 44%…서울 강남에 가장 많이 살아

국내 부자들이 부동산을 최초로 구입한 시기는 1990년대 후반이 21.6%로 가장 높고, 2000년대 초반(17.6%), 1990년대 초반(16.9%) 순으로 나타났다.

처음 부동산을 구입한 지역은 서울 강남(30.9%), 서울 강북(19.4%), 경기(18.7%), 대구·경북(9.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최초 구입 부동산은 아파트가 76.6%로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오피스텔(14.0%), 토지(4.7%), 상가(3.2%) 순으로 나타났다.

구입 시기별로는 1980년대 들어 아파트의 비중이 80%를 넘어선 후 점차 그 비중이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는 반면, 상가 및 전원주택 등 기타 부동산의 비중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입 시기별로 최초 부동산 가격은 1980년대에 평균 7000만원 수준에서, 1990년대 1억6000만원, 2000년대 4억원, 2010년 이후 5억3000만원으로 빠르게 상승했다.

1990~1994년 첫 부동산 구입 금액 평균은 한국 부자가 일반인의 2배(1억4000만원 vs 7000만원), 2010년 이후는 3배(5억3000만원 vs 1억7000만원) 수준으로 점차 격차가 확대됐다.

조사에 참여한 한국 부자의 현재 거주지역은 서울 강남이 39.9%로 가장 높고, 경기·인천(20.7%), 서울 강북(14.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거주 주택의 유형은 아파트가 76.8%로 국내 일반 가구의 아파트 비중 48.1%를 크게 상회했다. 한국 부자에게 아파트가 가장 보편적인 주거 형태인 셈이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